김홍도의 ‘그림 감상’, 18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담채, 27cm×22.7cm, 보물 제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그림 감상’, 18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담채, 27cm×22.7cm, 보물 제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그림 감상>은 사람들이 모여 그림을 보고 있는 장면을 그린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의 풍속화로 《단원풍속도첩》에 들어 있는 작품이다.

그림 속에서 한 무리의 남자들이 모여 그림을 감상하고 있는데, 그들 대부분은 유건(儒巾)을 쓰고 있다. 유건은 조선 시대에 벼슬이 없는 선비나 성균관 유생, 생원 등이 실내에서 착용하는 두건이다.

그림 상단에 두 손으로 그림을 잡고 서있는 수염이 무성한 사람이 스승이고, 나머지 사람들은 제자들로 보인다. 제자들 중에는 앳된 얼굴의 소년도 있고, 코와 턱에 수염이 난 장년의 남성도 있다. 스승 왼쪽 옆에 서있는 사람은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있어, 마치 그림에 침이 튀는 것을 방지하려는 모습처럼 보인다. 그런데 바로 옆에 서있는 사람은 한 손엔 담뱃대를 들고 나머지 한 손으로 그림을 받쳐 들고 있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림 앞면에 등을 보이고 서서 그림을 맞들고 있는 두 사람은 미투리를 신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목이 긴 검은 색 신발을 신고 있다. 그리고 두 명 중 한 사람은 유건이 아니라 뒤로 자락이 늘어진 복건(幞巾)을 쓰고 있다. 복건은 유학자의 상징으로 학창의(鶴氅衣)나 심의(深衣) 등과 같이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모두 넒은 소매에 곧은 깃이 달린 도포를 입고 있다.

이들은 스승의 설명을 열심히 들으며 그림 감상에 빠져있다. 배경은 생략되었고, 그림을 보고 있는 사람들의 행동만 강조되었다. 게다가 사람들이 보고 있는 종이 위엔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아 도대체 무엇을 이렇게 집중해서 보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조선 사회는 18세기에 이르러 경제가 발달하고 문화와 예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그림과 글씨를 수집·감상·품평하는 것이 양반은 물론이고 재력과 교양을 겸비한 중인들의 고급 취향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중국으로부터 들여오는 예술품의 수요가 급증했는데, 이렇게 수입된 서화와 골동품은 국내 예술계에도 큰 자극이 되었고, 국내의 화원이나 선비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 작품들은 화원이나 사대부 화가들 사이에서 감상과 품평의 대상이 되었으며, 수집가들의 소장욕구 또한 자극하였다.

이런 사실을 뒷받침하듯이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실학자인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쓴 『임원십육지(林園十育志)』에는 청동기·옥기·도자기·탁본과 서첩·회화의 진위 판별법이나 제조법·재질·제작 연대·소장 요령·감상 방법 등이 자세히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당시에 꽤나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 뒤 서화를 감상했던 풍조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조선 후기에 사대부들은 단순히 취미의 수준에서 그림을 감상한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품평을 하며 그림을 감상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품평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사대부들은 비로소 이상적인 취미 활동을 즐긴 것으로 간주했다.

백남주 큐레이터
백남주 큐레이터

사회 풍조가 이렇다 보니 감상과 품평을 즐기는 모임들도 많았을 것이고, 직업이 화원이었던 김홍도는 다른 사람보다 서화 감상과 품평의 기회가 잦았을 것이다. 또한 자신의 작품도 품평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고, 사람들이 모여 그림을 보고 평하는 모습은 그에겐 매우 익숙한 장면이었을 것이다. 김홍도는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태도에 흥미를 느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화면 속에 감상 중인 그림의 내용은 그리지 않고, 대신에 그림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춰 그들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로 김해 김씨이고, 호는 단원이다. 그는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산수화·인물화·도석화·풍속화·영모화·화조화 등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그의 풍속화에는 특히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력, 서민들의 생활에 대한 깊은 공감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단원 김홍도 연구(진준현, 일지사, 1999), 조선 풍속사1, 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강명관, 푸른역사, 2016), 풍속화(둘)(이태호, 대원사,1996), 한국 의식주 생활사전-의생활편(국립민속박물관, 2017)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