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제지 2주간 가동 중단되며 300억원 매출손실·수출차질 우려...'원인규명'부터 목소리도

한솔제지 공장 모습 [사진=한솔제지 홈페이지 캡처]
한솔제지 공장 모습 [사진=한솔제지 홈페이지 캡처]

[뉴스퀘스트=박민석 기자] 사업장 내에서 안전사고로 노동자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면 이를 감독하는 정부와 당사자인 회사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 옳을까.

향후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당연히 ‘원인규명’이 먼저 되어야 하는 것이 당연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지만 매출 손실을 이유로 조기 가동을 원하는 기업의 속내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최근 계열사 직원 사망사고가 발생한 한솔제지 충남 장항공장의 가동이 2주일째 멈추면서 수백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고 수출 차질과 관련 산업 파급효과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공장을 먼저 가동해야 한다는 논리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선 원인 규명이 우선이라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15일 업계 등에 따르면 한솔제지 장항공장은 지난 3일 근로자 A씨가 전기 관련 설비점검을 하던 중 기계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직후 당국의 작업중지 결정이 내려지면서 이날까지 가동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인쇄용지, 감열지 등을 생산하고 있는 이 공장은 지난해 매출이 7446억원에 달하는 대형 사업장으로, 2주일 가량 이어진 가동 중단에 따른 매출 감소액은 약 3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특히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절반가량은 수출되고 있어 가동 중단 장기화로 인해 수출 재고 물량 부족과 해외 고객 이탈 가능성이 크다는 게 회사 측의 우려 섞인 전망이다.

이와 함께 최근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한 세아베스틸 군산공장과 비교하면서 조기 가동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세아베스틸은 지난 9일 군산공장에서 직원이 추락 사고로 숨진 뒤 이튿날 전면 작업중지 명령을 받았으나 이틀만인 지난 12일 일부 생산라인의 가동과 제품 출하가 재개되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이 산업현장의 안전 문제에 대해 철저하게 따져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사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나 근로자 피해도 함께 고려해서 종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높다. 두 업체의 사고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직접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노동계 관계자는 “한솔제지의 경우 숨진 노동자에 대한 사고 원인이 나오지도 않았는데 공장 재가동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이 장기적으로 산업 안전 확보를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태안 화력발전소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숨진 김용균씨 사망사고 이후 위험의 외주화 방지를 비롯해 산업 현장의 안전규제를 대폭 강화하는 '김용균법'이 통과됐지만 일선 산업현장에서 노동자들의 안전은 담보되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