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의 '쌍검대무'.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6cm, 국보 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쌍검대무'.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6cm, 국보 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쌍검대무>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풍속화가인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813 이후)이 그린 풍속화로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국보 135호)에 들어 있다.

이 그림은 양반 몇 명이 기녀와 악공을 불러 춤판을 벌이고 구경하는 장면을 그렸는데, 신윤복의 풍속화 중 가장 많은 인물이 등장한다. 화면은 크게 삼단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에는 무용을 감상하는 양반들과 기녀, 심부름꾼 시종이 그려져 있고, 중앙엔 춤을 추고 있는 두 명의 무용수, 하단엔 음악을 연주하는 악공들과 춤을 감상하는 양반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배경을 생략하고 인물들로만 화면을 꽉 채웠지만, 생동감이 넘치는 작품이다.

화면 왼쪽 별도의 돗자리에 앉아 죽부인에 기대어 느긋하게 구경하는 남자가 오늘의 검무 공연을 주최한 주인공으로 보이는데, 도포를 입고 자주색 띠를 매고 있어 벼슬이 당상관 이상인 지체 높은 양반으로 보인다. 주인공 보다 앳된 얼굴의 다른 남성들은 뒷줄에 앉아 경직된 자세로 검무 공연을 감상 중이다.

그림 하단의 맨 왼쪽에 앉아있는 남성은 차면선(遮面扇)을 쥔 채 칼춤을 보고 있는데, 차면선은 조선시대에 남녀가 내외하기 위해 얼굴을 가리는 데 사용하였다. 그 옆에는 6명의 악공이 흔히 ‘삼현육각’이라고 불리는 피리·대금·해금·장고· 북으로 구성된 악기를 연주하고 있다.

이 그림의 주인공은 화면 중앙에서 춤을 주고 있는 두 명의 무용수이다.

두 손에 칼을 쥔 무용수가 빠른 장단에 맞춰 춤을 추고 있는데, 중력을 무시한 듯 가벼운 버선발로 돗자리 위에서 움직이고 있다. 검을 들고 춤을 추는 기녀는 군복의 소매 없는 겉옷인 전복(戰服)을 입고, 공작 깃을 단 전립(戰笠)을 쓴 이른바 검무기(劍舞妓)들이다.

화면 속 왼쪽 무녀는 옥색 전립, 노란색 저고리, 붉은색 치마를, 오른쪽 무녀는 흑색 전립, 연녹색 저고리, 푸른색 치마를 입고 있어 붉은 색과 푸른색의 대비가 강렬하다.

바람에 날리는 전복의 안감도 주황색과 붉은색으로 채색하여 감각적으로 색을 사용하는 신윤복의 기량이 얼마나 뛰어났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역동적인 춤사위와 더불어 강렬한 배색의 무복은 화면에 생동감을 주며, 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강렬하게 사로잡는다.

검무는 검이라는 무기를 들고 추는 춤이지만 살벌한 전쟁 무용이라기보다 칼을 돌리는 유연한 손동작과 바람을 가르는 역동적인 사위가 돋보이는 춤이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펴낸 『한국민속예술사전』에 따르면, 우리 역사에서 검무는 “상고시대의 수렵무용이나 의례무용 및 전투무용에서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공연 형태를 갖춘 검무가 출현한 것은 삼국시대 황창랑 설화에서 유래된 황창검무로 이 당시의 검무는 가면을 쓴 동자가 추는 춤이었다. 황창검무는 고려시대에도 전승되어 조선시대 초까지 연희되었다.

조선 시대 숙종 이후로 가면을 벗고 여기(女妓)가 추는 여기검무가 나타났으며, 정조 때 궁중 정재로 채택되면서 여러 가지 격식이 갖춰지고 공연형식도 더욱 예술적으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여기검무는 검기무(劍器舞), 첨수무(尖袖舞), 항장무(項莊舞)라는 이름으로 궁중연례에서 자주 공연되었고, 지방에서는 감영에 설치된 교방청에서 전수되어 지역별로 정착되고 전승되었다. 현재 진주검무가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에 검무는 매우 인기 있는 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문인들이 검무에 대한 감상평을 남겼으며, 특히 실학자 박제가는 영조 시대에 검무로 유명하였던 기생 운심의 제자들이 추는 검무를 감상한 후「검무기(劍舞記)」란 글을 써서 당시 공연된 검무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박제가가 쓴 「검무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두 명의 기생이 검무를 춘다. 융복(戎服) 차림에 전립(氈笠)을 쓰고 잠깐 절하더니 돌아서 마주하고 서서히 일어난다. 귀밑머리를 매만지고 옷깃을 여미더니 버선발을 들어 치마를 툭 차고 소매를 든다. 검은 앞에 놓였어도 펴다보지도 않고 느긋이 빙빙 돌며 다만 제 손만 살핀다.

방 한 귀퉁이에서 연주가 시작됐다. 북은 둥둥 울리고 피리 소리는 해맑다. 이때 두 기생이 나란히 나와 한동안 서로 으르다가 소매를 펼쳐 하나가 되고 어깨를 나란히 하여 나누어진다. 어느새 펄럭이며 앉더니 눈은 칼을 주목하며 가져올 듯 말 듯 아끼고 또 아끼며 다가설 듯 물러나며, 잡으려다 문득 놀란다. 잡았는가 싶어 보면 어느새 놓아 두어 헛되이 그 빛을 움켜쥐었다가 잠깐 만에 그 옆으로 낚아챈다. 소매는 칼을 쓰는 것 같고 입은 탈을 물려는 것 같다. 겨드랑이로 눕고 등으로 일어나 앞으로 숙였다가 뒤로 접친다. 옷과 띠, 머리카락마저도 온통 흩날린다.

문득 기세가 꺾여 열 손가락은 힘이 쪽 빠진 듯하여 쓰러질 듯 다시 일어난다. 바야흐로 춤사위가 빨라지자 손은 마치 인끈을 흔드는 듯하더니만 번드쳐 일어나자 칼은 어느새 간 곳이 없다. 고개 들어 이를 던지자, 칼 두 자루가 서리처럼 떨어지는데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게 허공에서 이를 낚아챈다. 칼날로 팔뚝을 재듯 고개를 들고 물러선다. 순식간에 서로 공격하는데, 사납기가 칼로 찌를 것만 같다. 검이 몸에 닿은 것이 한 치도 안 되겠고 찌를 듯 말 듯 하는 것이 마치 서로 양보하는 것만 같다. 번득이듯 번득이지 않은 것은 마치 내키지 않는 듯하다. 끌어당겨 펴지 않고 매었다간 풀지 않아 합치면 넷이 되고 나뉘면 둘이 된다. 칼 기운은 벽에 비쳐 파도 속에 용과 고기가 꿈틀거리는 형상을 짓는다.

순식간에 갈라져서 동서로 나뉘어 서니 서쪽의 기생은 땅에다 칼을 꽂고 팔을 늘어뜨리고 서 있다. 동쪽 기생이 달려들어 검을 마치 날개처럼 내달아 옷을 찌르고 우러러 뺨을 벤다. 서편 기생은 꼼짝 않고 서서 까딱 않으니 마치 영인(郢人)의 자질과 다름없었다. 내달아 온 기생이 한 차례 펄쩍 뛰며 그 앞에서 용맹을 뽐내고 무예를 자랑하며 돌아온다. 서 있던 기생이 이를 쫓아가 그이를 보복하려는지, 말이 힝힝거리듯 몸을 추켜 갑자기 성난 돼지처럼 고개를 숙이고 곧장 달려든다. 흡사 비를 무릅쓰고 바람을 거슬러 내달리는 것만 같다. 싸우려 해도 싸울 수가 없고 멈추려 해도 멈출 수가 없다. 두 어깨를 순식간에 부딪쳐 각자 생각지 않게 발꿈치를 물고 도니 마치 문지도리가 물려 돌아가는 것만 같다. 잠깐 만에 동쪽에 있던 기생은 서쪽으로 가 있고, 서쪽에 있던 기생은 어느 새 동쪽으로 가 있다. 일시에 몸을 돌려 이마가 부딪칠 듯 위에서 내려오고 아래에서 솟구친다. 검이 어지러워지자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혹 제 몸을 가리키며 그 능함을 뽐내고 혹 허공에 나아가 그 자태를 다한다. 사뿐 걷다 훌쩍 뛰면 마치 땅을 안 밟은 듯, 잔뜩 폈다 오므리면 남은 기운이 미칠 것만 같다. 무릇 치고 던지고, 나아가고 물러가며, 위치를 바꿔 서고, 떨치고 떨어지며, 빠르고 느린 것이 모두 음악의 가락에 맞춰 그 수를 따랐다.

이윽고 쟁그렁 소리가 나자 검을 던지고 절을 하니 춤사위가 끝났다. 사방의 좌석은 아무도 없는 듯 적막하게 말이 없다. 음악이 끝날 무렵에는 여음이 가늘게 흔들리며 소리를 끈다. 처음 춤을 시작해 절할 때 왼손은 가슴에 얹고 오른손은 전립을 잡아 천천히 일어나 제 몸조차 가눌 수 없을 듯 하는 것이 시조리(始條理)이다. 귀밑머리가 흐트러지고 옷자락은 헝크러져 순식간에 굽어보고 우러르다 번드쳐 칼을 내던지는 것은 종조리(終條理)이다. 내가 본 것은 썩 훌륭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그 기이한 변화를 자세히 얻을 수는 없었다. (근세의 검무는 밀양 기생 운심을 일컫곤 한다. 이들은 대개 제자들이다.)
- 박제가, 정민 외 옮김, 『정유각집』하, 돌베개, 2010, 177~179쪽에서 인용함

백남주 큐레이터
백남주 큐레이터

신윤복은 고령 신씨로 호는 혜원이다. 아버지 신한평(申漢枰, 1726~?)은 도화서 화원으로, 특히 초상화와 속화에 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윤복 또한 화원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의 생애나 행적을 당시의 문헌 기록에서 찾기는 어렵다.

또한 제작 연대가 밝혀진 작품이 드물어, 그의 정확한 활동 시기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주로 19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밀양검무의 춤사위 분석에 따른 미학적 성격 연구(임학선,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5)

정유각집 하 (박제가, 정민 외 옮김, 돌베개, 2010)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강명관, 푸른역사, 2001)

조선 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윤진영, 다섯수레, 2015)

한국민속예술사전(국립민속박물관, http://folkency.nfm.go.kr)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