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구미공장 스마트시티 임직원들이 지난 1월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설 명절을 맞아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하는 '희망나눔 봉사활동'을 펼쳤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구미공장 스마트시티 임직원들이 지난 1월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설 명절을 맞아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하는 '희망나눔 봉사활동'을 펼쳤다. [사진=삼성전자]

[뉴스퀘스트=박민수 편집국장] 국내 대기업을 비롯 많은 중견, 중소기업들은 사회공헌 차원에서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기업의 최대 목적인 이윤 창출만으로는 지속가능 경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공헌과 자원봉사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공익사업과 기부협찬, 자원봉사 등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경영활동 전략을 수립하면서 기업은 공익사업이나 기부협찬 보다는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에 역점을 두는 추세다.

공익사업이나 기부협찬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기업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은 갈수록 중요시 된다.

자원봉사활동은 기업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기대와 욕구도 만족시키는 역할을 한다.

국내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은 지난 2000년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가장 적극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SK는 지난 2004년부터 자원봉사단을 발족,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SK의 사회공헌활동은 소버린 사태와 총수 개인의 일탈행위 등으로 인해 실추된 기업이미지를 회복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SK그룹은 모든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자원봉사 조직인 ‘행복나눔봉사단’을 통해 우리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돕고 있다.

또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기부금을 모으는 ‘행복나눔성금’은 사회 취약계층의 안전과 보건 환경개선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재계 1위의 삼성도 임직원들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국내는 물론 해외 곳곳에서 자발적으로 업무 외 시간을 활용, 다양한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전국에 무려 1800여개의 삼성 봉사 팀이 구성돼 활동 중이다.

국내 봉사단은 놀이보다 즐거운 봉사를 가치로 내세운 ‘볼런테인먼트’ 제도를 운영하며 임직원들이 다양한 봉사프로그램을 직접 기획,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한 해외봉사단은 임직원의 자발적 참여로 세계 곳곳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외에도 많은 기업들이 겨울에는 김장 담그기 혹은 저소득층 난방지원을 위한 연탄배달 등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기업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주 52시간 근무제라는 복병을 맞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최근에 만난 한 대기업 임원은 주52시간 근무제의 문제점과 부작용을 지적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 워라밸도 좋지만 어려운 우리 이웃을 돕는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이 위축돼서는 안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동안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은 전사적 차원에서 약간의 강제성이 작동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된 이후부터는 자원봉사활동을 위해 임직원들을 동원하는 일이 힘들게 됐다는 것이다.

근무시간을 할애해 봉사활동을 펼치지 않는 이상 근무 외 시간이나 주말의 봉사활동은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물론 개인적으로 퇴근 후나 주말에 자발적 봉사활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사회공헌 차원의 기업봉사활동은 이제 개인의 근무 외 시간까지 희생하면서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지 1년, 대기업과 중소기업, 업종별로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워라밸’ 즉 일하는 시간은 줄이고 가족과 함께 즐기는 시간을 최대한 많이 갖도록 하자는 게 제도의 목적이다.

대기업의 경우 정시퇴근으로 여가시간이 확대돼 삶의 질이 높아졌다는 반면 중소기업은 임금 감소로 경제적 위축이 불만이다.

전문가들은 규모와 업종, 직종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주 52시간 근무제는 곳곳에서 예상치 않은 부작용을 낳았다.

시내버스업계는 기사를 구하지 못해 운행시간 단축 위기라는 혼란을 겪었다.

건설업계도 부족한 일손으로 공기를 맞추지 못해 공사기간이 늘어나면서 비용 부담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무의 특성상 기술개발을 위해 밤샘 몰아치기 연구개발이 필요한 IT업계도 어려움을 호소하기는 마찬가지다.

도입 취지가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현실적 경제상황과 근무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일률적 시행은 부작용을 낳기 마련이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에도 불통이 튀는 등 예상치 않았던 곳에서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다행히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최근 ‘시장의 기대보다 속도가 빨랐던 최저임금 인상이나 주52시간 근무제는 정부가 보완해가면서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해 우려되는 문제점들을 점차 개선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