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의 '계변가화', 19세기 초, 종이에 채색, 28.2cm×35.6cm, 국보135호,《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조선 후기의 대표적 풍속화가인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813 이후)이 그린 작품으로, 풍속화첩 인《혜원전신첩》(국보 135호)에 들어 있는 풍속화 30점 중 하나이다.

‘시냇가의 아름다운 이야기’라는 뜻의 제목을 갖고 있는 이 그림은 더운 여름날 빨래터에 모인 여인들이 빨래를 하고, 머리카락도 정리하고 있는 모습을 활을 들고 지나가는 남자가 바라보는 모습을 그렸다.

실내에서 빨래하는 것이 어려웠던 조선 시대에는 야외인 냇가로 빨랫감을 가지고 나가 빨래를 해오는 것이 여인네들의 중요한 가사 노동 중 하나였다.

날씨가 더워지면 여인들은 종종 빨래터에서 목욕을 하거나, 머리를 감기도 했다. 빨래터엔 늘 서너 명의 여인들이 모여 있었으며 모인 여인들의 연배도 다양했는데 이렇게 여러 사람이 모이는 빨래터는 정보를 나누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림에서 제일 나이가 많아 보이는 여인은 상반신을 노출한 채 빨래를 널고 있고, 흰 저고리를 입고 푸른색 치마 속에 미색의 속바지를 입고 있는 젊은 여인은 빨래 방망이질에 몰두하느라 주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

제일 나이가 어려 보이는 여성은 이미 빨래는 다해서 집에 가지고 갈 수 있게 보자기에 싸놓고, 감은 머리를 손질하는 중이다. 짐 보따리 옆에는 머리를 땋을 때 머리채를 크고 풍성하게 만들려고 넣는 가짜 머리카락(체(髢) 또는 월자(月子), 다리라고도 한다)가 놓여 있다.

그림 속의 여인들은 회장저고리가 아닌 민저고리 차림인 것으로 보아 서민층 부녀자로 보이는데, 젊은 여인들이 한 머리모양이 가체를 넣어 크고 풍성하게 만든 얹은머리 인 것을 보면 당시 상류층이나 기녀들뿐만 아니라 서민층에도 가체가 유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화면 왼쪽 개울 건너편에 이곳과 어울리지 않는 이방인 같은 존재가 서있다.

여인네들의 전용 공간이라 할 빨래터에 젊은 남자가 등장하여 신체의 일부를 노출한 여인들을 노골적으로 바라보고 있는데, 특히 그의 시선은 머리를 손질하고 있는 여인을 향하고 있다.

그녀는 짧은 저고리 밑으로 젖가슴이 드러나 있지만 감출 기색도 없이 오히려 시선을 즐기는 듯 두 볼에 홍조가 피었다.

이 젊은이는 본인 키 정도의 활을 오른쪽 옆구리에 끼고, 화살을 든 왼 팔에는 활을 쏠 때, 옷소매가 걸리지 않게 하는 팔찌(臂指)를 착용하고 있다. 활의 크기로 보아 무과 시험에서 사용한 정량궁(正兩弓)으로 보이고, 젊은 남자 역시 무과를 준비하고 있는 한량으로 추정된다.

김홍도의 '빨래터', 18세기 후반, 종이에 옅은 채색, 27cm×22.7cm,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빨래터', 18세기 후반, 종이에 옅은 채색, 27cm×22.7cm,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여인들이 빨래터에서 빨래하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풍속화가인 김홍도의 <빨래터>라는 작품도 있다.

여인들이 냇가에 모여 빨래하고 머리를 감는 장면은 비슷하지만, 김홍도의 작품에 등장하는 남자는 바위 뒤에 숨어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여인들을 몰래 훔쳐보고 있다.

두 화가가 빨래터에서 일어난 일을 해석하는 방법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김홍도의 <빨래터>가 삶의 현장으로서 빨래라는 노동을 실행하는 곳이라는 원래의 목적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다면, 신윤복의 <계변가화>는 빨래터에서 발생한 남녀 간의 긴장관계에 더 중심을 둔 것으로 보인다.

백남주 큐레이터
백남주 큐레이터

두 사람이 같은 주제의 풍속화를 그렸지만, 신윤복은 미묘한 애정관계나 심리 상태의 묘사에 더 탁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윤복은 고령 신씨로 호는 혜원이다.

아버지 신한평(申漢枰, 1726~?)은 도화서 화원으로, 특히 초상화와 속화에 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윤복 또한 화원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의 생애나 행적을 당시의 문헌 기록에서 찾기는 어렵다.

또한 제작 연대가 밝혀진 작품이 드물어, 신윤복의 정확한 활동 시기를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주로 19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강명관, 푸른역사, 2001)

조선의 뒷골목 풍경(강명관, 푸른역사, 2004)

조선의 미를 사랑한 신윤복(조정육, 아이세움, 20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