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이규창 경제에디터] 환율은 금리와 마찬가지로 모든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환율은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현상까지 반영된 비교가격이다.

일본의 경제보복,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 북한의 미사일 실험 등 굵직한 이슈는 당연하고 BTS를 앞세운 문화한류, 각종 사건과 사고, 심지어 개인의 작은 경제활동도 정확한 수치까지 산출할 수는 없으나 환율에 영향을 미친다.

환율이 각국의 경제이슈에 따라 민감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우리는 환율을 대표적인 경제현상으로 받아들일 뿐이다.

원론적으로 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은 우리나라가 튼실하다는 뜻이고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은 그 반대의 뜻이다.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과 미국과 중국의 무역에 이은 환율갈등이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면서 환율이 급등하고 있다.

야당은 주가 하락과 함께 환율 급등을 ‘제2의 IMF’, ‘경제 위기’로 표현하며 청와대와 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재료 및 중간재 수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기업은 원가 부담을 안게 된다.

또, 연쇄적인 물가 상승 고리가 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환율이 상승하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늘어난다.

현재 야당이 집권했던 이명박 정부 시절의 경제팀은 낙수효과를 강조하며 수출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노골적인 고환율 정책을 구사했다.

반면, 환율이 하락 추세를 조금이라도 보이면 언론 헤드라인은 ‘수출 적신호’, ‘수출업체 비상’으로 장식된다.

환율 하락은 해외에서 우리나라 제품을 그만큼 비싸게 주고 사야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 하락을 의미한다.

이러한 뉴스를 보고 있자면 중견·중소기업은 당장이라도 망할 것 같다.

달러당 1,200원에서 1,100원으로, 다시 1,000원으로 떨어지는 추세에서 이러한 언론의 보도와 기업의 하소연을 보고 있자면, 대체 달러당 700~800원대 시절에는 어떻게 기업이 물건을 팔았는지 의문이 들 정도다.

이처럼 환율은 동전의 양면이다.

물론, 속도 조절은 필요하다.

위든 아래든 급격한 환율 변동은 기업 경영에 어려움과 불확실성을 안기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다양한 외화를 보유하면서 해외 현지 생산을 늘리는 데에는 환율 변동 리스크를 줄여보려는 의미도 담겨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가 중앙은행을 통해 외환시장에 개입하며 속도조절에 나선다.

정부가 속도조절을 하는 사이 기업과 가계는 추세에 맞춰 대비하고 움직이면 된다.

하지만, 환율의 큰 흐름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경우 다른 역풍과 부작용을 불러온다.

최근 환율 급등은 분명 우려스러운 경제 변수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외환시장 안정에 나서겠다며 일단 구두개입을 통해 속도 조절에 나섰다.

그런데 환율의 단기적인 움직임에 냉철한 분석과 대비책 제시보다는 또 다시 호들갑과 엄살이 판치고 있다.

이러한 호들갑과 엄살, 비판을 위한 비판은 돌고 돌아 기업과 언론, 정치권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끝)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