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체감 물가 상승률은 2.1%↑...지표물가와 차이 6년만에 최대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박민석 기자] "물가가 이렇게 많이 올랐는데 무슨 물가상승률이 '0%'야..."

왜 일반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와 정부가 발표하는 지표물가 상승률은 왜 차이가 나는 것일까.

이는 통계청이 조사하는 품목의 물가와 개인이 구매한 상품의 품목, 종류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는 일상에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 460종의 가격 변화를 평균해 반영한다. 반면 체감물가는 개인이 자주 접하는 몇몇 품목에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정 수준 괴리가 불가피하다.

예를 들어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교육비가 오르면 민감하게 느낀다. 교육비 부담 증가를 물가와 연관 지어 생각하는 셈이다.

또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을 오랜 만에 구매한 가정도 오래 전의 제품 가격과 비교해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인식할 수 있다.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처음으로 '0%'를 기록한 지난달 일반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와의 괴리는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소비자들의 물가인식(지난 1년간 소비자들이 인식한 물가 상승률 수준)은 2.1%로 큰 차이를 보였다.

물가인식은 한은이 전국 도시 25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발표하는 수치다. 주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달 조사된 소비자들의 물가인식(2.1%)도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지표물가 상승률과의 격차는 2013년 10월(2.1%포인트) 이후 거의 6년 만에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이 두 통계의 차이가 벌어지면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면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이 늘어 소비 증대로 이어져야 하지만 체감 물가 상승률이 그대로일 경우 소비가 늘지 않기 때문이다.

한 경제전문가는 "지표물가 상승률이 낮고 이에 비해 체감물가가 높아 큰 차이를 보일 경우 실질 구매력이 늘어도 소비가 줄어들 가능성이 많다"며 "당국은 지표는 물론 체감물가 안정에도 노력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