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저장·이용까지 생활권에서 자급자족…냉난방·전기·교통 모두 수소로

수소시범도시 모델(안) 예시. [자료=국토부]
수소시범도시 모델(안) 예시. [자료=국토부]

【뉴스퀘스트=최인호 기자】 수소를 냉·난방과 전기 등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차가 거리를 누비는 '수소 도시'가 2022년까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10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수소 시범도시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도시내 3~10㎢ 면적을 주거·교통 분야 수소활용 기술을 테스트할 '수소 시범도시' 3곳을 12월까지 최종 선정 한다고 10일 밝혔다.

수소는 청정 연료로 탄소 배출이 거의 없지만 생산과 저장·이송 등이 어렵고 안전 등의 우려가 있어 사용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국토부는 한 도시 내에서 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소 생태계'를 갖춘 도시를 조성, 시민이 건강하고 깨끗한 생활을 체감할 수 있는 곳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수소 도시로 선정된 지역은 1곳당 수소 친화 도시계획(MP) 수립비와 연료전지·파이프라인·수소 통합운영센터 등 핵심인프라 구축비를 포함한 총사업비(290억원 한도)의 50%가 국비로 지원된다.

이 사업비를 바탕으로 수소 시범도시에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공동주택(연료전지 440㎾급 설치), 상업빌딩(100㎾급), 통합운영플랫폼(센터), 수소 배관, 도시가스 추출기 등이 들어선다.

이를 통해 시범도시의 공동주택 단지, 개별 건축물은 냉·난방, 전기의 에너지원으로 수소를 사용한다.

도시 내 수소에너지 기반 교통체계도 구축되는데, 이를 위해 복합환승센터, 주차장, 버스 차고지 등에는 수소차·수소 버스 충전소가 설치된다.

통합운영센터도 설치돼 해당 시범도시의 수소 공급·저장·이송 현황, 안전성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관리한다.

폭발 위험이 있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데 따른 안전 대책도 마련된다.

시범도시는 사고가 나면 시스템이 자동 정지되는 안전제어시스템을 의무적으로 갖춰야 하며, 현재 안전기준이 미흡한 '저압 수소' 사용 부품의 기준도 강화한다.

[자료=국토부]
[자료=국토부]

국토부는 전문기관과 함께 공모부터 운영까지 단계별로 지자체에 안전 관련 평가, 컨설팅(자문)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수소 시범도시 계획·설계·시공·운영 모든 단계에 걸친 통합안전관리지침도 배포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2022년까지 수소 시범도시의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며, 시범도시 사업 이후 2030년까지는 '수소도시 확장기'로 정해 전국 지자체(시·군·구)의 10%를 수소도시로 바꾼다는 목표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 시점에는 수소차와 수소버스도 각 14만750대, 2100대가 운행될 예정이다.

또 2040년까지는 지자체의 무려 40%가 수소도시 면모를 갖추고, 수소차 82만5000대와 수소버스 1만2000대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상주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수소 시범도시 추진으로 도시 내 수소 생태계가 조성되면 주민들이 편리하게 수소를 활용할 수 있고 수소 경제도 활성화될 것"이라며 "안전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시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