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이사회 참여가 없는 점 아쉬워...환경, 엄격해지는 사회적 요구에 선제대응 필요

[사진=뉴스퀘스트 DB]
[사진=뉴스퀘스트 DB]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NH투자증권의 변종만 애널리스트는 “포스코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주주가치 제고와 지속기업 역량 강화라는 목표에 대체로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포스코는 이사회를 주축으로 경영과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시민사회와 동반성장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변 연구원은 “그러나 여성의 이사회 참여가 전무한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환경 문제와 관련, 갈수록 엄격해지는 사회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 지배구조

▲ 주주구성

포스코는 주주 구성상 특정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이사회 및 감사기구를 효율적으로 투명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를 통해 지배구조 개선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배주주 부재로 인해 중장기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일관성 있게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포스코는 지배구조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으며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조해왔다.

포스코는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로 지분율은 10.7%에 불과하다.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의무 공시 대상 비금융 161개사의 평균 최대 지분율은 42.8%에 달한다.

특정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외부 영향에 따라 회사의 운영방향이 결정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중,장기적 사업계획을 실행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때 포스코는 정치권의 영향을 받아 회사 이익을 침해할 뻔 했다는 의혹을 받은 적도 있다.

회사는 이를 인지하고 꾸준히 개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과반수의 사외 이사를 중심으로 독립성과 투명성을 높인 이사회를 운영하는 등 실질적인 경영구조의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다.

포스코는 이와함께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해 주주의 주주총회 참석률 제고하는 한편 주총에서 주주들의 제안 적극 장려하고 있다.

배당정책과 보유주식에 따른 의결권 부여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제도를 마련해 실시하고 있다.

변 연구원은 “다만 특정 지배주주가 없어 외부 간섭이 있을 경우 비 지배 주주 전반의 이익이보호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변 연구원은 이어 “여타 대기업들과 달리 특정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최대 주주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소액 주주의 권익을 침해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포스코의 최대 주주는 2019년 3월 31일 기준 국민연금으로 10.72%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배력이 높은 편은 아니다.

이밖에 시티뱅크NA가 10.57%, 블랙록이 6.23%를 보유중이며 자사주가 8.24%에 달한다.

다만 이러한 특성상 외부 영향력에 따라 회사의 운영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액주주의 권익이 침해당할 수 있는 한계도 안고 있다.

포스코의 외국인 주식 소유 비중은 53.3%로 높은 편이다

과거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가 거셌다는 점을 감안 동사도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주요 대기업군과 달리 포스코는 친족으로 구성된 소유 지분이 없다.

이 부분은 상속 등의 이슈가 없어 불필요한 지배구조 변화와 논쟁이 있을 수 없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다만 과감한 투자와 장기적인 경영비전을 달성할 기반이 약하다는 지적은 새겨봐야 할 대목이다.

변 연구원은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 의사결정 제도를 마련, 실질적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사회 구성

포스코의 이사회 구성과 운영은 이사회의 경영의사 결정 및 경영감독 기능 수행에 효과적이라는 평가다.

이사회는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돼 있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이 분리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내 다양한 내부위원회를 두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사회 구성 중 여성임원이 선임된 사례가 없다.

변 연구원은 “업계 특성상 여성 인력이 전문성을 인정받아 사내 이사로 선임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사외이사 선임은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앞으로 개선 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의 이사회는 산업계 금융계 학계 법조계 회계분야 또는 공공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으며 이사회 내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유지하고 있다

2018년 기준전체 12명의 이사 중 사회이사는 7명(58.3%)으로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대상 비금융 161개사 기업의 평균치인 55%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다.

사외이사의 재직기간은 평균 2.3년으로 6년 초과 재직자는 없는 상황이다.

사외이사 보수는 평균 7200만원 선으로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대상 기업의 평균 5480만원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사내 이사의 연간 보수는 평균 10억3000만원으로 의무공시 대상 161개 기업의 평균 11억5000만원 보다는 조금 낮은 편이다.

사외이사 선임에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선임된 사외이사 7인 모두가 남성이라는 점은 비판 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대표이사(CEO)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기는 했지만 회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회장 후보가 모두 내부 인사로 선정돼 전문성에도 불구하고 다양성과 확장성, 공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 사회가치

▲ 하도급 불공정 거래

포스코는 ‘동반성장 추구’를 모토로 하고 있다.

특히 협력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협력사와 지역사회의 가치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 부분에서는 하도급 불공정거래 이슈가 제기되기도 한다.

포스코는 하도급 불공정거래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제도를 도입해 운용중이다.

포스코는 현재 포항과 광양에 각각 60여개와 50여개의 외주사가 영업 중이다.

이들은 제철소 내 다양한 부문에서 조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하도급 거래와 관련, 불공정 거래가 이뤄진다는 의혹을 받은 적이 있다.

외주사가 포스코의 지침을 잘 따르고 안전사고 및 노사분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포스코로부터의 꾸준한 수주로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형성될 수 있는 포스코와 하도급업체와의 절대적인 갑을 관계가 불공정 거래를 낳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이미 수년 전부터 외주사에 대한 공개경쟁 입찰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관련 정재계 관계자와 지역유지, 포스코 간부출신들이 외주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어 실질적인 공개경쟁이 정착되기는 힘든 측면이 있다.

과거 불공정 하도급 거래로는 계열회사인 포스코컴텍의 사례가 있다.

하도급 업체에게 내화물의 가공 포장 등을 위임한 후 KPI 성과 평가에 따른 패널티 명목으로 일부 금액을 환수하고 하도급 계약 단가를 계약체결일 이전에 위탁한 부분에 대해서도 소급 적용, 차액을 환수하는 방법으로 하도급 대금을 감액해 과징금 1억3000만원을 선고받은 바 있다.

▲ 여성임직원 비율

여성임직원 비율은 2016년 5.0%, 2017년 5.3%, 2018년 5,0%로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의무공시 비금융 161개사의 여성임지원 비율이 각각 21.3, 21.7, 21.5에 달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반면 계약직 비율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개년 각각 1.2%, 1.0%, 1.5%로 전체적으로 1.5% 이하 수준을 유지, 타사 평균 5.7%에 비해 고용의 안정성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여성 인력에 대한 배려가 다소 부족한 점이 눈에 띈다.

총 임원 중 여성 임원의 비율이 1.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 이사회 구성원 중 여성이 전혀 없다는 점은 향후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근속연수 또한 평균 19년 안팎으로 다른 기업의 10년 안팎에 비해 근속연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당 교육시간도 연간 100시간을 넘겨 다른 기업의 60여시간에 비해 50% 이상 교육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재해 근로자 수는 2016년 17명(중대 재해자수 4명), 2017년 7명, 2018년 13명으로 직영과 협력사 등 전체 작업현장에서의 재해자 수는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2019년 상반기에 중대 재해자수가 이미 3명에 달해 사전 예방대책 외에 작업현장 내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 환경

포스코는 철강기업이므로 제품 제조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발생하는 폐수량, 폐기물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의무공시 대상 비금융 1 61개 기업의 평균치 보다 훨씬 많다.

철강산업의 특성상 많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포스코는 폐수와 폐기물의 재활용량을 늘리는 방안을 통해 환경오염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다만 이런 노력에도 불고 최근 이슈가 된 고로(용광로), 블리더(안전밸브) 개방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문제 등 과거에 인정받던 조업방식이 엄격해지는 환경규제와 시민단체 활동에 따라 새로이 지적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철강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환경문제는 대기오염과 폐수 및 폐기물 배출로 지적된다.

포스코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의무공시 비금융 161개사의 평균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

포스코는 최근 철강산업이 이산화탄소, 폐수, 폐기물을 많이 배출하는 환경에 좋지 않다는 통상적인 인식을 바로 잡고 철강이 친환경소재라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매년 설비투자에 예산의 10%를 환경 개선에 투자하고 있다.

시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고 회사도 이를 인식, 향후 환경개선에 투자하는 예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대기오염과 관련해서는 2020년까지 소결로 3기에 2000억원, 2021년까지 부생가스 발전시설 15기에 1300억원을 투입, 질소산화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 오래된 부생가스 발전시설 6기를 2021년까지 폐쇄, 35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최신 발전시설로 대체하는 등 구체적인 시설투자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철강산업의 특성상 에너지 사용량 많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포스코의 에너지 사용량은 각각 48만4300TJ(테라줄), 47만1404TJ, 48만9745TJ로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의무공시 비금융 161개사의 2만8255TJ, 3만989TJ, 3만4308 TJ에 비해 20배 이상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도 2016년부터 2018년 3개년동안 평균 8506만5000co2e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의무공시 비금융 161개사의 350만9000여 co2e에 비해 30여배 이상 배출하고 있다.

포스코는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 용수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을 연도별로 기업시민보고서에 명시하고 이과 관련된 구체적 수치도 함께 기재하고 있다.

포스코는 발생 폐수를 재활용할 뿐 아니라 재활용 횟수를 최대한 늘려 수질오염을 최소화하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지하수를 취수, 댐수를 대체하는 등 지역사회의 물 부족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포스코의 시민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용수 사용량은 168만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중 34%를 재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물 발생량도 2018년 기준 1200만톤으로 그중 93%가 재사용되고 있으며 자원의 순환적 이용을 확대,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행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