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가구특별추계, 2047년엔 전국 가구주의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

[사진=뉴스퀘스트DB]
[사진=뉴스퀘스트DB]

【뉴스퀘스트=강영민 기자】 앞으로 9년 뒤인 오는 2028년에는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가 '부부+자녀 가구' 보다 많아지는 것으로 추계됐다.

특히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돼 2047년에는 1인 가구 중 60세 이상 비중이 57%에 달하고,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가 '대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장래가구특별추계 시도편: 2017~2047년'에 따르면 올해 전국 2011만6000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598만7000가구로 처음으로 부부+자녀 가구(596만2000가구)를 뛰어 넘는다.

특히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로 부부+자녀 가구(29.6%)를 추월하는 셈이다.

◇ 1인 가구가 대세로

통계청은 올해부터 1인 가구가 전국적으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 됐으며, 2028년에는 전 시도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아진다고 설명했다.

시도별로 보면 올해부터 서울(32.4%), 부산(30.0%), 광주(31.2%), 대전(33.0%), 경남(29.6%) 등에서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가구유형으로 집계됐다.

이미 강원(32.2%), 충북(31.0%), 충남(31.1%), 전북(31.2%), 전남(31.6%), 경북(31.9%), 제주(28.6%)는 2017년부터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다.

오는 2027년에는 대구(32.1%), 인천(29.4%), 세종(33.2%), 경기(29.0%)에서도 1인 가구가 가장 많아진다. 이후 2028년 울산(28.8%)이 합류하면서 전국 17개 시도 모두에서 1인 가구가 주된 가구형태가 된다.

2017년 기준으로만 해도 전국적으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은 부부+자녀가구(31.4% 615만가구)였지만, 올해부터 1인 가구에 자리를 내주게 됐다.

이대로 가면 1인 가구 비중은 갈수록 확대돼 2047년에는 강원(41.9%), 충북(41.8%), 대전(41.7%) 등 7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이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 2047년엔 65세이상 고령자 가구가 절반으로

가주구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지난 2017년 399만8000가구에서 2047년 1105만8000가구로 2.8배로 불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전체 가구에서 이들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4%에서 49.6%로 오른다.

30년 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가 되는 셈이다.

시도별로 보면 2047년엔 17개 시도 중 절반 이상인 9개 시도에서 고령자 가구 비중이 50%를 넘어선다.

전남(59.9%)과 경북(57.7%), 강원(57.3%) 등이 가장 높고, 가장 낮은 세종도 35.4%나 된다.

세종·경기·인천·제주·울산은 30년 동안 고령자 가구 수가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가구주의 중위 연령은 2017년 51.6세에서 2047년 64.8세로 13.2세 높아질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2047년 중위 연령은 세종(56.3세)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시도에서 60세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높은 곳은 전남(69.6세)으로 70세에 육박하며, 전남과 경북(68.6세), 강원(69.2세) 등도 이에 못지 않다.

2017년은 40~59세 가구주가 전체의 46.7%로 가장 많았지만, 2047년에는 60세 이상이 59.0%로 '대세'가 된다는 예상이다.

2047년에는 모든 시도에서 60세 이상 가구주의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남(69.2%)·강원(67.0%)·경북(66.7%)에서 60세 이상 가구주 비중이 높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모든 시도에서 저출산·고령화의 특징이 반영됐다"며 "다만 세종은 출산율이 높고 젊은 연령층 인구 유입이 많아 예외적인 특징을 보이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