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 사내 행사에서 연설하는 저우 회장. [사진=란쓰커지]
최근 열린 사내 행사에서 연설하는 저우 회장. [사진=란쓰커지]

【뉴스퀘스트/베이징=전순기 통신원】 구시대적 발생인지는 모르겠으나 여성이 제조업에 도전해 성공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도전 대상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하드웨어 제품 분야라면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의 사회 활동이 왕성한 미국에서도 흔히 보기 어려운 모습이라고 단언해도 좋다.

여성의 지위가 미국보다도 크게 높다고 하기 어려운 중국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미국보다는 그래도 인구가 4배는 많은 국가답게 적극적으로 찾아보면 없지는 않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유리의 여왕’으로 불리는 저우취안페이(周群飛. 50) 란쓰커지(藍思科技) 회장을 꼽을 수 있다.

기업을 물려받은 2세가 아니라 직접 본인이 창업해 성공한 오너 세대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해야 할 것 같다.

ICT 분야에서 창업에 도전했다면 주위에서 학력이 높지 않을까 하는 선입관을 가질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후난(湖南)성 샹샹(湘鄕) 후톈(壺天)진의 한 산골 마을에서 1970년 태어난 저우 회장은 변변한 학력이 거의 없다.

10대 후반 시각 장애인인 아버지를 따라 이주한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의 한 시계유리 공장에서 일하면서 다닌 야학의 수업이 배움의 전부였다.

한마디로 뼈 속 깊이 타고난 흙수저였다.

창업이라는 것은 아예 언감생심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저우 회장은 성공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았다.

간절히 갈구하면 이뤄진다고 했던가.

저우 회장의 꿈은 1993년 3월 1차로 진짜 실현되기에 이른다.

누나와 오빠 부부, 세 명의 사촌 언니와 동생과 함께 2만 위안(元. 현재 환율로는 340만 원)의 창업 자금으로 선전의 바오안(寶安)구에서 창업의 깃발을 올린 것이다.

초창기 주요 사업 아이템은 손목시계 유리에 들어가는 실크 스크린 인쇄였다.

의욕과는 달리 처음에는 사업이 잘 되지 않았다.

게다가 4년 후에는 아시아 금융위기까지 덮쳤다.

주변의 공장들은 자연스럽게 자금난에 빠졌다.

저우 회장은 할 수 없이 한 공장의 노후 설비를 결제 대금 대신 받은 후 본격적으로 시계 유리 사업에 뛰어들었다.

결과적으로 금융위기가 회사에게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셈이다.

2001년에는 또 다른 기회가 찾아왔다.

인근의 한 휴대폰 업체에 유리를 납품하다 본격적으로 사업을 펼치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의 란쓰커지 역시 이때 설립했다.

협력업체인 애플의 팀 쿡 CEO를 만나는 저우 회장 [사진=란쓰커지]
협력업체인 애플의 팀 쿡 CEO를 만나는 저우 회장 [사진=란쓰커지]

2차 창업의 꿈이 현실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저우 회장은 전 중국을 돌아다니면서 수많은 휴대폰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에 나섰다.

거의 맨 몸으로 뛰다시피 한 열정은 바로 효과가 나타났다.

사업이 그야말로 폭발하기 시작했다.

주위의 예상을 뒤엎고 ‘손목시계 유리 가공업체’에서 ‘휴대폰 유리 제조업체’로 변신하는데 가볍게 성공한 것이다.

현재 란쓰커지는 저우 회장의 노력 덕에 스마트폰 특수 유리의 연구개발을 비롯해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회사로 거듭났다.

삼성, 애플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특수 유리를 무려 절반이나 생산한다.

그럼에도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업계의 글로벌 히든 챔피언이라고 할 수 있다.

외형도 대단하다.

2019년 말을 기준으로 매출액이 300억 위안에 이른다.

시가총액은 더 대단하다.

무려 960억 위안 전후에 이르고 있다.

곧 1000억 위안을 돌파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해야 한다.

흔히 천시(天時. 하늘이 주는 기회), 지리(地利. 지리적 이점), 인화(人和. 구성원 간의 화합)라는 말을 많이 한다.

무슨 일이 되려면 이 세 가지가 맞아 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회사 임직원들과 함께 포즈를 취한 저우 회장(가운데 붉은 옷 입은 여성) [사진=란쓰커지]
회사 임직원들과 함께 포즈를 취한 저우 회장(가운데 붉은 옷 입은 여성) [사진=란쓰커지]

이 점에서 보면 저우 회장은 정말 복을 받았다고 해야 한다.

휴대폰 유리 제조에 눈을 뜬 이후 스타트업 천국 선전에서의 창업과 가족들과의 화목 경영을 통해 성공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다른 요인도 없지 않다.

무엇보다 불우한 환경을 원망하지 않고 운명을 개척한 진취적 기상을 가장 먼저 꼽아야 한다.

여기에 비록 학벌은 없으나 부단한 학습을 통한 혁신 노력, 관련 업계에서는 유명한 엄청난 액수의 연구, 개발 투자 역시 거론해야 한다.

특히 연구, 개발 투자는 란쓰커지의 오늘이 있게 만든 원동력이라고 단언해도 좋다.

이는 저우 회장이 늘 “연구, 개발에 대한 지속적 투자 없이는 죽음만 있을 뿐이다.”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니는 사실만 봐도 좋다.

창업 이후 지금까지 쏟아부은 투자액이 100억 위안이 넘는 것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란쓰커지는 현재 글로벌 업계의 점유율만 봐도 향후 10 수년 동안은 먹을거리 걱정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할 수 있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안정적인 경영을 통해 극강의 기업으로 우뚝 서게 될 것이라는 얘기가 아닌가 보인다.

그러나 평소 저우 회장의 연구, 개발에 대한 의욕을 상기하면 이 정도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 확실시된다.

중국 언론이 최근 란쓰커지의 변신에 유독 주의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