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조사통계월보, 2012년 이후 소비하락은 50대 이상의 노후소득 불안 때문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50대 이상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구가 노후 소득에 대한 불안감으로 지갑을 닫으면서 국내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물가 하락은 일시적인 공급요인 뿐이라는 정부 당국의 설명과는 달리 수요가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하는 대목이다.

이에 국내 인구구조의 급속한 노령화로 인한 '디플레이션' 우려도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한국은행의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김대용 차장과 서정원 조사역의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일정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이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임박한 2012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보고서는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을 나타내는 국내 가구의 소비성향 변동요인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은 2012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2015년 들어 소폭 반등하긴 했지만 경기침체 때 단기간 하락 후 바로 회복하곤 하던 과거 패턴과는 달리 장기간 하락 후에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료=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캡처]
[자료=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캡처]

이 같은 소비성향 하락은 50대 이상 가구와 고소득층 가구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내구재보다 의식주와 관련한 필수지출 항목이 전체 소비성향 하락을 주도한 것이 더욱 충격적이다.

김 차장은 이에 대해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노후 소득원이 안정적이지 않다 보니 50대 이상 가구를 중심으로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미래소득 우려가 2012년 이후 소비성향 하락에 상당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통상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의 가치가 상승할 경우 씀씀이를 늘리는 경향(자산효과)이 나타난다는 게 경제이론의 설명인데, 국내 가구의 경우 가구주 연령대가 높아지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이런 효과도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 차장은 "최근 소비성향 변동은 인구 고령화라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어 2000년대 초중반과 같은 수준의 소비성향으로의 복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