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의 '월야밀회',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6c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월야밀회',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6c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월야밀회(月夜密會)>라고 알려진 이 그림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풍속화가인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813 이후)이 그린 풍속화다.

보름달이 휘영청 밝은 달밤, 사람 키보다 높은 담장 아래 여인을 끌어안고 있는 남자와 두 사람을 지켜보고 있는 한 여인이 있다.

남자는 남색 전대를 맨 자주색 전복을 입었고, 검은 바탕에 붉은 테를 두른 전립을 쓰고, 왼손에 휴대용 무기인 철편(鐵鞭)을 들고 있다. 남자가 입고 있는 옷이 군복인 것으로 보아, 그의 신분은 포교나 군관으로 보인다.

아마도 남자는 한밤중에 순라를 돌다가 여인과 은밀하게 만나고 있는 듯하다.

남색 끝동과 자주색 고름이 달린 회장저고리를 입고 푸른색 치마를 입은 상대 여인은 오른손을 자신의 가슴께로 올린 채, 남자 쪽으로 몸을 돌려 얼굴이 닿을 만큼 가깝게 남자와 밀착해 있다.

그림의 오른 쪽에는 밀착해 있는 남녀를 바라보는 여인이 옆 담장에 바짝 붙어 서있다.

이 여인은 자주색 깃을 단 회장저고리에 푸른색 치마를 입었는데, 치마를 접어 올려 흰색 띠로 매고 있으며 녹색의 장옷을 어깨에 걸치고 있다.

커다란 얹은머리에는 머리 장식이 꽂혀 있는데, 이 머리 장식은 조선 시대에 왕비를 비롯한 상류 계층 여자들이 의식 때 꽂았던 떨잠이다.

남녀의 은밀한 행동을 엿보고 있는 그녀가 왜 거기에 서있는지 알 수는 없다.

사연이 있어 헤어졌던 남녀의 재회를 주선하였는지, 아니면 불륜의 현장을 목격해서 분노에 떨고 있는 건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통행금지가 있던 조선 시대에 한밤중에 남녀가 은밀하게 만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그림 속 여인들이 양반집 부녀자인지 기생인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한밤중에 포교와 밀회를 하는 것으로 보아 여성을 기생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성이 높아 보인다.

조선 후기에는 포교들이 기생의 주된 손님이었고, 그들 중에는 기부(妓夫)가 많았다는 사실로 보아, 이렇게 해석하는 것도 타당할 듯싶다.

이 그림 속에 묘사된 장면은 등불도 없이 한밤중에 남녀가 몰래 만나고 있는 장면이지만, 휘영청 밝은 보름달이 떠 있어 세 사람이 서있는 현장은 연극 무대의 배경처럼 환하다.

밝은 달빛 아래에서 옷 색깔도 은은하게 빛을 발하고 있다.

신윤복은 현장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처럼 구도를 잡은 부감법(俯瞰法)을 사용하여 구도를 잡았는데, 담장 안 정원의 모습까지 상세하게 그려냈다.

마치 작가 자신이 밀회 현장을 은밀히 훔쳐보고 그림을 그린 것 같은 느낌이다.

미국인 샤이에 롱은 1880년대 말 조선의 야간 통행금지 후의 풍경을 기록으로 남겼다.

신윤복의 그림이 그려진 시기와 비록 수십 년의 시차는 있지만, 통행금지 이후의 모습이 크게 다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인경이라 불리는 커다란 종이 울리면 조선인들은 부랴부랴 자신의 집으로 발길을 재촉해야만 한다. 아울러 모든 상점 문이 닫히고 인파로 북적대던 거리가 눈 깜짝할 사이에 황량한 적막에 휩싸인다. (……) 그럭저럭 밤이 깊어가고 어둠이 온 도시를 휘감는 순간 이따금 어슬렁거리며 순찰을 도는 순사들이 거들먹거리며 흔들어 대는 철봉의 쇠사슬 소리만 어렴풋이 정적을 깨뜨린다. (……) (샤이에 롱, 「코리아 혹은 조선」, 조정육, 『조선의 미를 사랑한 신윤복』, 아이세움, 2014, 88쪽에서 재인용)

신윤복의 '월하정인(月下情人)',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2c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월하정인(月下情人)', 19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28.2cm×35.2c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월야밀회>와 비슷하게 한밤중에 남녀가 만나는 그림으로는 신윤복이 그린 <월하정인>이 있다.

이 작품에는 갓을 쓰고 소매통이 넓은 중치막을 입은 앳된 양반과 쓰개치마를 쓰고, 자주색 깃과 끝동이 달린 회장저고리를 잘 차려 입은 여성이 등장한다.

둘만의 밀회를 즐길 시간이 부족한지 초롱을 든 남자의 발걸음은 이미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고, 쓰개치마를 쓴 여자 역시 남자를 따르겠다는 의지를 신고 있는 신발의 방향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그림을 보면 마치 통금이 존재하던 조선 시대에 한양 도성에서 이루어지던 심야의 애정 행각을 작가인 신윤복과 함께 엿보고 있는 기분이 든다.

신윤복은 고령 신씨로 호는 혜원이다.

아버지 신한평(申漢枰, 1726~?)은 도화서의 화원으로 특히 초상화와 속화에 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윤복 또한 화원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의 생애나 행적을 문헌 기록에서 찾기는 어렵다.

또한 제작 연대가 밝혀진 작품이 드물어 정확한 활동 시기를 가늠할 수는 없지만, 주로 19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강명관, 푸른역사, 2001)

조선의 뒷골목 풍경(강명관, 푸른역사, 2004)

조선의 미를 사랑한 신윤복(조정육, 아이세움, 20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