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2030년까지 조성키로...각 지역별 '특화 항만'도 추진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오는 2030년까지 부산항 제2신항이 '한국형 스마트 항만'으로 조성된다. 또 인천, 평택, 울산 등 전국 권역별로 '특화 항만' 개발이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17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해수부는 앞으로 완공될 부산항 제2신항을 2030년부터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운용 중인 광양항에 5940억원을 들여 시험대(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기로 했다.

스마트 항만에서는 선박과 부두의 접안, 물건을 싣고 내리는 야적 등의 과정이 인공지능(AI) 컴퓨터에 의해 조종된다.

해수부는 국산 기술을 도입해 부산항 제2신항부터 자동화를 완성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다른 항만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동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을 최소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하기 위해 노사정 협의를 계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료=해양수산부]
[자료=해양수산부]

해수부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 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항만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권역별로 특화한 항만도 개발할 예정이다.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급 초대형선이 접안할 수 있는 규모로 짓기 위해 2022년 착공한다. 신항의 명칭은 지역의 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결정했다.

총물동량 기준으로 세계 11위 규모인 광양항에는 순환형 항로를 구축한다.

해수부는 배후부지 확충부터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 복합 항만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인천항에 컨테이너 부두 3선석을 확충하고, 인천신항으로 들어가는 지하차도를 조성할 예정이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을 지원하는 항만으로, 목포항은 서남권 지역 산업의 거점항만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장기적으로 여객·크루즈에 특화한 관광 중심항으로 육성하고, 울산·동해권은 정부의 신북방 정책에 따라 신북방 에너지와 물류 전진기지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향후 10년간 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자료=해양수산부]
[자료=해양수산부]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