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정투입 효과로 1%포인트 끌어올려...중국·노르웨이 1-2위

SK테레콤 연구원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연합뉴스]
SK테레콤 연구원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영향에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마이너스(-)1.0%로 역성장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등 주요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OECD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실질 성장률 순위는 관련 자료가 발표된 15개 주요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

OECD는 회원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비회원국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의 성장률 발표치를 모아 공개하고 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은 중국(2.3%), 노르웨이(-0.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다음으론 인도네시아(-2.1%), 스웨덴(-2.8%), 미국(-3.5%), 일본(-4.8%), 독일(-5.0%), 프랑스(-8.2%) 순이었다. 영국(-9.9%)과 스페인(-11.0%)은 –10% 안팎의 큰 폭의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했다.

관광 등 서비스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는 코로나19 충격을 많이 받았지만 중국과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제가 이처럼 선방한 것은 반도체 등 주력 업종이 살아나며 수출이 회복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4~5월 수출액이 20% 넘게 급락했으나 반도체 경기 덕에 11월(4.1%), 12월(12.6%) 연달아 플러스 성장했다.

정부의 재정지출로 경기를 끌어올린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민간 부문의 성장 기여도는 –2%포인트였지만 정부는 1.0%포인트였다.

민간 소비가 위축됐으나 추가경정예산 등 확장재정으로 성장률 급락을 완화시킨 셈이다.

OECD는 지난해 12월 전 세계 50개 주요국의 2021년도 성장률을 전망했는데, 한국의 전망치는 2.8%로 29위다. 중국이 올해 8.0% 성장하며 50개국 가운데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역성장 골이 깊었던 프랑스(6.0%), 스페인(5.0%)은 기저효과 영향 등에 급반등할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