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 12일 바이든 참석 화상회의, 20조 투자 압박·인센티브 회유할 듯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미국 백악관이 주최하는 반도체 공급망 서밋이 한국시간으로 12일 밤 열리는 가운데 회의에 초대받은 삼성전자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미국이 회의를 통해 사실상 '반(反)중 안보'를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만큼, 양국 그 누구도 놓칠 수 없는 삼성의 입장이 난처해졌기 때문이다.

앞서 백악관은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참가자 명단에 양사가 포함된 것도 중국의 반도체 시장에 맞서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삼성은 메모리반도체 세계 1위, TSMC는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에서 왕좌를 놓지 않고 있는 기업이다. 삼성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회의에 초청 받았다.

미국은 이번 회의에서 특히 삼성전자의 오스틴 공장 추가 투자 결정에 압박을 넣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삼성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만큼, 바이든의 인프라 확충 기조에 견인차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입해 추가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하고, 텍사스주 오스틴시를 유력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지난 겨울 대대적인 한파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며 삼성의 오스틴 공장이 셧다운 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결정이 지연됐지만, 이번 회의를 통해 투자 여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전자가 텍사스 주정부 재무국에 제출한 투자의향서에 따르면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 증설은 지역 사회에 총 89억달러(약 10조원)의 경제 효과와, 2만개의 일자리 창출 등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텍사스주는 삼성전자를 잡기 위해 인센티브 등 다양한 회유 요소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미국이 이번에 글로벌 기업들을 불러 모은 것도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타격을 줄이기 위해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체계를 강화하자는 취지다. 

여기에 늘어난 공급망에 따라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하고 있는 모양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부터 인프라 확충을 통한 일자리 확대를 자신해왔다.

다만 대(對)중국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는 삼성이 쉽사리 중국을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만약 삼성이 빠른 시일 내에 미국 내 투자 여부를 결단 내리지 않는다면 중국 역시 반도체 공급망 확충을 빌미로 대규모 투자를 요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 제공]

때문에 이번 회의에서 삼성의 대규모 투자와 관련된 발언은 미중 갈등에 있어 샌드위치 신세를 면치 못한 삼성의 향후 사업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삼성은 미중 갈등과 더불어 총수 부재 현상까지 겹쳐 20조원 투자 금액을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쉽사리 결정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 입장에서 미국 뿐만 아니라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요청도 쉽게 거절하기 힘들 것"이라며 "강대국 패권 다툼 속에 우리 기업이 한쪽의 선택을 강요받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한편 화상으로 진행될 예정인 이번 반도체 서밋에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등판할 예정이다.

백악관은 11일 바이든 대통령의 일정을 공개하면서 "미국 일자리 계획과 미국의 반도체 및 다른 핵심 분야 공급망의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화상 CEO 서밋에 잠시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의 참석 기업은 삼성전자와 TSMC뿐만 아니라 구글 모회사 알파벳, AT&T, 커민스, 델 테크놀로지, 포드, 제너럴모터스(GM), 글로벌 파운드리, HP, 인텔, 메드트로닉, 마이크론, 노스럽 그러먼, NXP, PACC AR, 피스톤그룹, 스카이워터 테크놀로지, 스텔란티스 등 19개사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