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식료품·생활용품 등 필수재에 사용...저축은 3.8% 뿐
KDI 이영욱 연구위원 작년 5월 전국민재난지원금 분석

[일러스트=연합뉴스]
[일러스트=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작년 5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전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시 이를 현금으로 받은 가구들의 약 94%는 지원금을 소비 지출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이 사용한 긴급재난지원금의 21.7%가 본래 계획되지 않은 추가 소비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나 서민들의 어려움을 직접적으로 덜어준 것으로 분석됐다.

4일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한국노동경제학회에 게재한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논문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차 재난지원금을 지급시 일반적으로는 신청을 받아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별도 신청 없이 현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당시 현금 수급 가구는 총 287만 가구로 전체 가구 대비 12.9%에 해당했다.

이 연구위원은 지난해 9월 이들 현금수급가구를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내역을 직접 조사했다.

그 결과 긴급재난지원금을 수령받은 당월(5월)에 대부분 사용했다는 응답이 47.1%로 가장 많았다. 6월은 33.7%, 7월은 12.0%, 8월은 4.2%로 5월 초 지원금이 현금으로 지급된 이후 2~3개월안에 대부분 사용했다.

지원금의 사용 용도를 분석한 결과 현금수급가구의 93.7%는 대부분 소비지출에 사용했다. 저축은 3.8%, 빚 상환은 1.8% 뿐이다.

지원금으로 사용한 금액이 총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식료품, 가정생활용품 구매 등 필수재에 대한 소비가 70.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건의료비 지출(15.7%), 외식(6.9%) 순이었다.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현금수급가구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을 분석할 결과, 평균적으로 사용된 긴급재난지원금의 21.7%는 본래 계획되지 않은 추가 소비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한계소비성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실직·휴직·구직의 어려움과 같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관찰됐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가구에서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관찰돼 긴급재난지원금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가구의 소비지출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도움을 줬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