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차입에 의한 자산투자 확대, 위험 수위"…코로나19 상황 변수될 듯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사실상 국내 금리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질문에 "금리인상이 늦으면 늦을수록 더 많은 대가를 치르기 때문에 연내에는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기준금리 인상은 늦어서도 안 되지만 서둘러서도 안 된다"며 "연내 인상 메시지는 시장에 전달했지만, 시작 시점은 코로나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에 앞서 이 총재는 지난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에도 "코로나가 재확산하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 물가 오름세 확대,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다음(8월) 금통위 회의부터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논의하고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8월 인상을 결정한 바는 없다"며 "(금리인상 시점은) 코로나 상황에 달려 있고, 우리가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의 배경에는 코로나19 사태 후 계속되고 있는 저금리 기조와 이른바 ‘영끌’ ‘빚투’가 급증하면서 자산시장의 버블이 생겼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국가 금융시스템의 전반의 위기로 확대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다.

실제로 늘어나는 가계부채 속에 뒤늦게 금리를 인상할 경우, 그에 따른 파급효과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심각해질 것이 분명하다.

이 총재는 이와 관련 "최근 경제 주체들의 위험선호가 지속하면서 차입에 의한 자산투자가 이어졌다"며 "건전성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저금리가 장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한 거시건전성 규제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최근의 추세가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시 경제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통화 정상화로 대처해 나갈 필요성이 보다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매월 가계부채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41조6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신용대출인 기타대출도 11조3000억원이나 늘어났다.

다만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단행 시기를 놓고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이는 급속하게 악화되고 있는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때문이다.

이에 이 총재도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시기를 확정하지 못한 이유로 코로나19 상황을 거론한 것이다.

하지만 이달 하순부터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고 강화된 방역수칙으로 확산세가 잡힌다면 다음달 금리 인상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주열 총재는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난 것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면서 "금리 인상을 늦췄다가 만약 가계부채가 폭발이라도 할 경우의 충격을 우려해 조기 금리 인상을 염두에 둔 게 아니겠느냐"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코로나 확산세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금리 인상 시점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8월과 10월 인상 가능성을 반반씩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많은 전문가들도 한국은행이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1회씩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