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국제정치 들춰보기] 한국외교의 '전략 부재' [국제정치 들춰보기] 한국외교의 '전략 부재' 【뉴스퀘스트=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전략(Strategy)의 사전적 정의는‘전쟁에서 승리를 위해 여러 전투를 계획·조직·수행하는 방책’이다.현대에 이르러 전략은 치열한 비즈니스 업계로 전장을 옮겨 활용되고 있다.다수 기업들은 전략·기획실을 핵심부서로 운영하며, 중장기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등 미래경영 전략을 체계적으로 마련한다.일부 기업은 맥킨지, BCG 등 글로벌 컨설팅펌에 고비용을 지불하며 사업전략을 일임할 만큼, 전략은 기업의 핵심이다.기업전략 수립은 크게 4단계로 나뉜다.①단계는 인적·물적 자원 등 기업내부를 평가하고, ②단계는 타깃(Target)인 국가·고객 등 시장정보(MI)를 분석하며 ③단계에서 경쟁업체·모델 등 사업환경을 진단한다. 그리고 ④단계에서 앞선 정보를 토대로 전략을 수립한다.물론 이는 개략적인 단계일 뿐, 실제는 수많은 인력·자원·시간이 투입되어 기업전략을 구축한다.하지만 이러한 각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패자는 항상 존재한다.그렇다면 한국 외 국제일반 | 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 2021-04-21 10:14 [국제정치 들춰보기] 싱가포르의 2040년, 한국의 2040년은? [국제정치 들춰보기] 싱가포르의 2040년, 한국의 2040년은? 【뉴스퀘스트=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19세기초 영국 동인도회사가 현 싱가포르 남부에 무역 정착지를 설립하면서, 싱가포르의 역사가 시작되었다.싱가포르는 대영제국의 식민지로 100년을 보낸 후 독립해 1963년 말레이시아와 합병하지만, 중국계인 싱가포르인과 토착 말레이시아인 사이에 끊임없는 마찰로 결국 1965년 독립 국가 ‘싱가포르’로 자리매김했다.이후 싱가포르는 국부로 추앙받는 ‘리콴유(Lee Kuan Yew)’ 수상의 40년 장기 집권하에 놀라운 경제성장을 이룩했다.익히 알려진 △ 강력한 법적제제 △ 공무원 부패방지제도 △ 이중언어(영어+모국어) 도입 등 정책을 토대로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 유럽 등 다민족이 하나로 묶여 지금의 경제발전을 이뤄냈다.한국의 1%도 안 되는 면적에 500만 인구가 이뤄낸 업적이다.이런 싱가포르가 오랫동안 고심해온 문제가 있다. 바로 대기오염이다.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역 화전민들은 농지개간을 위해 논ㆍ밭ㆍ산간을 태우는 데, 이 때 발생한 연기들이 싱 국제일반 | 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 2021-04-07 13:51 [국제정치 들춰보기] 신냉전 시대 한국의 생존전략 [국제정치 들춰보기] 신냉전 시대 한국의 생존전략 【뉴스퀘스트=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2019년 5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이 대선출마를 선언하자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돈을 더 뜯어내기 위해 바이든을 원한다’며 맹비난했다.이어 2019년 10월 ‘바이든의 아들 헌터가 중국 정부와 유착했다’는 증거로 2013년 중국인민은행이 헌터에게 사모펀드 5억 달러(약 2조억원) 투자한 사실을 공개했다.대선을 코앞에 둔 2020년 8월, 트럼프는 공세를 강화해 ‘바이든이 당선되면 중국이 미국을 잠식한다’, ‘중국이 미국을 갖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고 연설했다.당시 일부 미 유권자들은 바이든의 친중 성향을 비난하며 우려를 표했다.그러나 예상과 달랐다.바이든 행정부의 대중(對中)정책은 공격적이다 못해 적대적이었다.지난 3일 블링컨이 국무부 연설에서 ‘중국과의 관계는 경쟁적, 협력적, 적대적일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어 미중간 타협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그러나 17일(현지시간) 알래스카 미중 첫 고위급 회담에서 블링컨 국무장관은 신 국제일반 | 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 2021-03-24 15:20 [국제정치 들춰보기] 김정은 말 한마디에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향방 결정된다 [국제정치 들춰보기] 김정은 말 한마디에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향방 결정된다 【뉴스퀘스트=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13일(현지시간) CNN·로이터 등 외신은 미 정부 고위관리를 인용, 미측이 지난 2월 중순 이후 유엔 북한 대표부 등 여러 채널로 북한과 대화 시도했지만 답변이 없다고 전했다.그리고 15일 백악관은 이 보도가 사실임을 인정했다.과거 북한은 오바마·트럼프 등 미 대통령 취임 첫해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으로 도발해왔기에, 이러한 미측 접근은 도발자제 등 긴장고조 위험을 줄이고 대북정책에 앞서 북한 입장을 검토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사실상 북미간 공식대화는 500일 넘게 중단 중이다.2019년 2월 하노이 2차 북미회담, 6월 DMZ 북미회동 그리고 10월 스톡홀름 실무협상을 마지막으로 북미협상의 시계는 멈춰있다.2019년 연말부터 코로나19, 트럼프 탄핵정국, 미국대선 등 여러 사태로 인해 북미간 대화의 기회도, 공간도 없었기 때문이라 설명할 수 있지만, 북미접촉이 생각보다 늦어지고 있다.2020년 3월과 10월 2차례 평양 워싱턴간 친서 국제일반 | 이주형 국제관계전문가 | 2021-03-17 07:3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