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림지대가 아니라 탁 트인 삼림지대에서 살아
열매가 아니라 잎을 찧기에 맞는 어금니
인류의 기원, 새로운 연구가 필요해

사람이 직립보행을 하도록 한 꼿꼿한 직립 몸통은 숲에서 나무 열매를 따기 위해 진화한 것이 아니라 삼림지대에서 잎을 따먹기 위해서 진화한 것이라는 새로운 이론이 제기되었다. [사진= 어스닷컴]
사람이 직립보행을 하도록 한 꼿꼿한 직립 몸통은 숲에서 나무 열매를 따기 위해 진화한 것이 아니라 삼림지대에서 잎을 따먹기 위해서 진화한 것이라는 새로운 이론이 제기되었다. [사진= 어스닷컴]

【뉴스퀘스트=김형근 과학전문 기자】 사람이 직립보행을 하도록 한 꼿꼿한 직립 몸통은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체형은 숲에서 나무 열매를 따기 위해 진화했다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미시간 대학의 획기적인 연구는 이러한 유인원 조상과 그들의 직립 몸통의 진화에 대한 오랜 믿음에 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 새로운 연구는 열매가 아니라 잎이 풍부한 식단과 함께 탁 트인 삼림지대에서의 삶이 유인원이 직립할 수 있는 발달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기존의 연구, 열매를 따기 위해 직립으로 진화

이 발견은 유인원의 기원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전에 믿었던 700만~1000만년 전에서 1000만~2100만년 전인 마이오세 초기 시기의 초원 시대로 연대를 뒤로 미루게 한다.

나무의 바깥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과일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큰 유인원들은 그들의 팔다리를 상을 향해 뻗으면서 줄기에 더 가까운 나뭇가지에 무게를 균형을 맞춰야 한다.

원숭이가 똑바로 서 있을 때 이 작업은 훨씬 쉬워진다. 원숭이가 손과 발을 사용하여 다른 가지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인원의 등이 수평일 때, 손과 발은 일반적으로 몸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특히 몸집이 큰 유인원의 경우 바깥쪽으로 더 작은 가지로 도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것이 현대의 유인원들이 과일을 찾는 방법이다.

이 연구를 이끈 미시간 대학의 로라 맥래치(Laura MacLatchy) 교수와 존 킹스턴(John Kingston) 연구원은 이것이 과거에 유인원들이 직립하기 위해 진화한 이유라고 믿었다.

그러나 맥래치 교수가 우간다 동부의 모로토 유적지에서 발견된 모로토피테쿠스(Morotopithecus)라고 불리는 2100만 년 된 화석 유인원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연구는 다른 스토리를 제시한다.

초기 유인원, 잎을 따먹고, 탁 트인 삼림지대에서 살아

연구팀은 초기 유인원들이 주로 나뭇잎을 먹고 부서진 카노피와 탁 트이고 초원이 있는 삼림지대에 살았다고 믿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환경이 울창한 숲의 과일과는 반대로 유인원들이 똑바로 선 자세로 이끄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제안했다.

맥래치 연구원은 "이 열린 환경들은 인간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족 보행(직립보행)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조상들은 나무들이 더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땅 위를 걸어 다니기 시작했다”고 추측했다.

그는 "이제 우리는 이러한 환경이 이족보행이 진화하기 적어도 1천만 년 전에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의 기원에 대해서도 정말로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어금니, 과일이 아니라 잎을 찧을 수 있도록 울퉁불퉁해 

연구팀은 고대 유인원들이 잎을 먹는 동물이라는 첫 번째 단서는 그들의 어금니에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 유인원들의 어금니는 매우 마루가 많았다. 묘사하자면 봉우리와 계곡이 있는 바위 투성이와 같았다.

맥래치에 따르면, 이와 같은 어금니는 섬유질 잎을 찢는 데 사용되는 반면, 과일을 먹는 데 사용되는 어금니는 일반적으로 더 둥글다고 한다.

인류학과의 맥래치 교수는 두가지로 요약했다. “우리는 등이 곧은 원숭이를 많이 본다. 그들은 숲에서 과일을 먹는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우리가 발견한 첫 번째 놀라운 사실은 원숭이가 나뭇잎을 먹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놀라움은 그 유인원들은 밀림이 아니라 탁 트인 초원의 삼림지대에 살고 있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