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를 기억할 것이다. 이 사고는 우리나라 신고체계의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당시 많은 희생자들은 119와 112로 구조요청을 했지만 해양긴급신고는 122로 했어야 했다고 한다.

사고초기 관련기관에 신속히 신고를 해서 대응할 수 있게 하는게 중요한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0여개의 신고전화가 운영되고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어떠한 번호로 전화를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게 되고 그 사이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소위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래서 국민안전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민이 편리한 방향으로 신고체계를 개선하여 지난 7월부터 긴급신고전화를 110, 112, 119 3개로 통합하여 시범운영 중에 있으며, 오는 10월에 전면 시행 할 예정이다.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112(긴급범죄신고), 119(재난신고) 두 곳 중 한 곳만 전화하여도 관련기관(경찰 및 소방 등)간 공동대응시스템을 구축하여 신고내용, 전화번호, 위치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출동 시간이 빨라지고 대응능력 향상될 전망이다.

또한 긴급하지 않은 각종 상담전화는 110에서 분리 접수함으로써 긴급한 신고를 더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15년 경기북부지역의 112신고 전화 현황을 보면 약 107만여 건 중 약 45만여 건, 42%가 단순 민원ㆍ상담 등 이른바 비출동 신고였다.

범죄신고 112에 걸려오는 비긴급전화나 허위ㆍ장난전화 등은 긴급출동 대응시간을 늦추는 원인이 되며, 목전의 범죄로부터 경찰의 도움이 절박한 이웃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나아가 스스로의 안전마저 해칠 수 있음을 기억하자.

 
그리고 이제부터라도 112와 110을 구분하여 신고해야 한다. 국민의 안전의식과 적극적인 협조로 긴급신고전화 통합서비스가 조기에 정착되기를 기대해본다.

이순왕 순경 <chopin119@police.go.kr>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