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作 '쌍륙삼매', 19세기 초, 종이에 채색, 28.2cm×35.6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作 '쌍륙삼매', 19세기 초, 종이에 채색, 28.2cm×35.6m, 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쌍륙삼매>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풍속화가인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813 이후)이 그린 것으로 간송미술관 소장 풍속화첩 《혜원전신첩》에 들어있는 풍속화 30점 중 하나다.

이 그림은 두 쌍의 남녀가 야외에서 사선으로 편 돗자리위에 앉아 쌍륙 놀이에 빠져 있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쌍륙을 두고 있는 여자가 차분하고 신중하게 그러나 도발하듯 막 말을 옮기려 하고 있는데, 승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순간을 포착한 것으로 보인다.

여인의 경기 상대인 남자는 탕건도 벗어놓고 망건만 쓴 채로 쌍륙을 두고 있다. 남자는 소매를 걷어붙이고 기다란 담뱃대를 입으로만 물고서 쌍륙판 쪽으로 몸을 굽혀 여자가 옮기려는 말을 노려보고 있는데, 승부에서 밀리고 있는 사람의 조바심 내는 모습이 느껴진다.

뒤에서 구경하는 남자는 뒷짐을 진 채 점잖은 척 하고 있지만, 쌍륙판을 자세히 들여다보려고 몸을 앞으로 굽혔고,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듯 발은 이미 땅에서 떨어져 있다.

중앙에 앉아 있는 여자는 단정하고 꼿꼿하게 앉아 냉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알 수 없는 표정으로 여자 쪽을 향해 살짝 고개를 돌리고 있다.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침묵 속에 흐르는 긴장감을 사람들의 표정과 몸짓으로 잘 표현했음을 알 수 있는데, 화면 오른쪽의 제시(題詩)에서도

“쌍륙 말 놓는 소리만 역력하고 사람들은 숨죽인 채 아득하게 빠져드는구나 (雁橫聲歷歷 人靜漏迢迢)”

라고 하여, 현장의 긴장된 분위기를 고스란히 전달하고 있다.

그림 속 쌍륙 판은 앞쪽 보다 뒤쪽이 더 커보이게 역 원근법을 사용하여 그렸다. 이것은 그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 가까운 곳을 더 크게 보이도록 그린 것으로, 쌍륙을 두고 있는 인물에 중점을 둔 것이다.

등장인물들의 옷차림을 보면, 쌍륙을 두고 있는 여자는 분홍색 저고리에 짙은 청색의 치마를 입고 있고, 경기를 관전하고 있는 여자는 자주색 깃에 남색 끝동을 단 회장저고리에 연한 푸른색 치마를 입고 있다. 두 여인의 옷차림은 모두 기녀의 옷차림으로 보인다.

쌍륙을 두는 남자는 저고리 위에 안과 겉의 색이 다른 겹 배자를 입었다. 뒤에서 구경하고 있는 남자는 복건 위에 갓을 덧쓰고, 중치막을 입고, 검은색 띠를 매고 있는데 이 차림새는 벼슬을 하지 않은 유생의 차림으로 생각된다.

쌍륙은 주사위 두 개를 던져 나오는 숫자만큼 말을 움직여 먼저 나가면 이기는 놀이다. 상대방의 말을 많이 잡고, 유리한 곳으로 말을 움직여야 이길 수 있다.

쌍륙놀이에서 주사위의 숫자는 우연에 따라 나오지만, 경기의 승패는 말의 운용에 따라서 갈린다. 말은 보통 검은 말 15개, 흰말 15개를 쓰는데, 그림에선 푸른색과 붉은색으로 채색하여 말을 구분하였다.

쌍륙은 서역에서 중국을 거쳐 삼국시대 또는 그 이전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었고, 조선 시대에 이르러 민간에 널리 알려진 놀이다. 또한 남성들이 주로 했던 투전과 골패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박성이 약했고, 부녀자들이 즐겨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까닭에 쌍륙놀이는 여성끼리 혹은 여성과 남성 간에 주로 함께 했던 오락으로서 인기를 끈 것으로 보인다.

백남주 큐레이터.
백남주 큐레이터.

신윤복은 고령 신씨로 호는 혜원이다. 아버지 신한평(申漢枰, 1726~?)은 도화서의 화원으로 특히 초상화와 속화에 빼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신윤복 또한 화원이 된 것으로 보이나, 그의 생애나 행적을 문헌 기록에서 찾기는 어렵다. 또한 제작 연대가 밝혀진 작품이 드물어 정확한 활동 시기를 가늠할 수는 없지만, 주로 19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간송미술관 소장 <혜원풍속화첩>을 통해 본 19세기(순종~고종년간) 민간의 복식과 생활상 (이태호·양숙향, 강좌미술사 15권, 한국미술사연구소, 2000)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 나오다(강명관, 푸른역사, 2001)

조선의 뒷골목 풍경(강명관, 푸른역사, 2004)

한국세시풍속사전(국립민속박물관, http://folkency.nfm.go.kr/sesi/index.jsp)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