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등 '편히쉬겠다'는 응답과 상반...평균자산 6.5억원 노후자금은 연금에 의존

[사진=뉴스퀘스트DB]
[사진=뉴스퀘스트DB]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연 가구 소득이 6800만~1억2000만원(세전)에 해당하는 국내의 '대중부유층(Mass Affluent)' 3명 가운데 1명은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계속하겠다는 '경제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국과 일본의 비슷한 조사에서 '편히 쉬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다.

대중부유층이란 중산층보다는 부유하면서 기존의 PB(개인자산관리) 서비스 대상 고액자산가 보다는 자산이 적은 계층을 말한다.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대중부유층 4000명을 대상으로 올 8~9월 설문조사를 진행해 17일 발표한 '한국 대중부유층의 노후 준비와 자산관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가구 연 소득 6800만원~1억2000만원 가정을 대중부유층으로 정의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 노후 여유생활비 월 374만원...절반은 감당 가능

대중부유층들은 은퇴 후 노후에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계속 일을 하겠다는 응답이 35.3%로 가장 많았다.

취미나 문화생활을 즐기겠다는 '레저형'(32.4%)이 뒤를 이었으며, 새로운 것을 배우는 '자기계발형(15.6%), 편히 쉰다는 '안식형'(11.6%), 손자녀 양육 또는 봉사활동을 원하는 '봉사형'(5.3%) 순이었다.

이는 안식형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경제형 선호도는 비교적 낮은 다른 국가들과는 비교되는 결과다.

실제 일본은 비슷한 조사에서 안식형(54%)·경제형(21%)·레저형(21%, 복수응답)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은 안식형(53%)·레저형(52%)·경제형(37%)·봉사형(31%, 복수응답) 순으로 안식형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응답자 과반은 원하는 노후 생활비의 감당이 가능한 가능할 것이라는 자가 진단을 내렸다.

대중부유층이 원하는 노후 월 필수생활비는 가구당 225만원, 여유자금을 더한 여유생활비는 374만원으로 조사됐는데, 대부분 가구(91.5%) 필수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으며 57.0%는 여유생활비까지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자신의 노후 준비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5점이어서 현재 노후 준비 정도를 불안해하고 있었다.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 평균 총자산 6.5억원...부동산이 77% 차지

보고서에 따르면 대중부유층은 한국 소득상위 10~30%에 해당하며 평균 총자산은 6억5205만원이다. 자산 가운데 부동산이 5억3295만원으로 77.3%를 차지했으며, 금융자산은 1억150만원으로 19.4%였다.

대중부유층의 노후 예상 소득 창출로는 연금(공적·개인·퇴직·주택) 의존도가 57.5%로 가장 많았다. 다만 근로소득(16.9%)이 두 번째를 차지해 노년의 경제활동 지속에 대한 의지를 다시 확인했다.

노후에 주거용 부동산의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44.9%가 '주택연금 이용'을 선택했다. 최근 주택연금에 대한 중장년층의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매각 후 현금 이용(24.0%), 매각 후 임대부동산 마련(23.9%), 주택담보대출(8.2%) 순이었다.

자산관리 계획은 3~5년 내 부동산 비중은 67.0%로 낮추고, 금융자산을 24.7%로 높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산관리 기대 수익률은 연 3~4%대(38.9%)와 5~7%대(38.7%)가 대부분이었지만, 현재 금리 수준과 응답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성향까지 고려하면 쉽게 달성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응답자의 33.6%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여전히 '대면서비스를 원한다'는 응답이 64.4%로 압도적이었다.

연구소는 "대중부유층은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있음에도 그간 고액자산가 위주의 자산관리 서비스로부터 다소 소외됐다는 점을 고려해 금융회사들은 대중부유층에 특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