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파안(路上破顔), 김홍도作, 18세기 후반,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8cm×23.9cm, 보물 제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노상파안(路上破顔), 김홍도作, 18세기 후반,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8cm×23.9cm, 보물 제527호, 《단원 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노상파안>은 길을 가는 일가족이 지나가는 젊은 선비와 마주치는 순간의 모습을 그린 단원(檀園)김홍도(金弘道, 1745~1806이후)의 풍속화로《단원풍속도첩》에 실려 있다.

그림 속 소를 타고 가는 여인은 푸른색 치마에 남색 끝동을 단 회장저고리를 입어 반가의 부인으로 짐작되는데, 녹색 장옷을 쓰고 어린 아이를 본인 몸 앞에 앉히고, 한 손으론 장옷의 깃을 잡아 얼굴을 가리고 나머지 한 손으론 아이가 떨어지지 않게 안고 있다.

소등에는 길마가 얹혀 있고, 그 위로 짚으로 짠 가마니 방석이 놓여 있는데, 여인은 그 위에 올라 앉아 있다.

길마는 소의 등에 짐을 싣기 위해 얹는 연장으로, 말 굽쇠 모양으로 구부러진 나무 2개를 앞뒤로 나란히 놓고 몇 개의 막대를 박아 이들을 고정시키고, 얹었을 때 소등이 상하지 않도록 안쪽에 짚으로 짠 언치를 대서 만든다.

원래 양반가의 여성들이 외출을 하려면 부담롱(負擔籠: 물건을 넣어서 말에 실어 운반하는 조그마한 농짝)을 얹은 부담마를 타고 가는 것이 법도였는데, 여인은 집안 형편이 어려운지 말 대신 소를 타고 가는 중이다.

여인 뒤로 갓끈(纓子)을 한쪽으로 몰아 고정시킨 커다란 갓을 쓴 남자가 아이와 닭을 같이 업은 채 걸어서 여인을 따라오고 있다.

장으로 닭을 팔러 가는지 아니면, 장에서 닭을 사가지고 돌아오는지 알 수 없지만 사내의 얼굴엔 환하게 웃음꽃이 피었다.

다정한 아버지의 모습과 초롱초롱한 아이들의 밝은 표정, 다른 남자의 시선을 피하는 단정한 어머니의 모습에서 가족의 단란함이 잘 드러난다.

비록 입성은 초라하고 형편은 어려워도 양반이라는 자긍심은 잃지 않은 당당한 모습이다.

행복해 보이는 가족의 옆으로 부채로 얼굴을 가린 젊은 선비가 어린 종이 끄는 말을 타고 지나가고 있다.

선비의 덩치를 감당하기 힘들어 하는 말은 피곤한 기색이 역력해 보이고, 더욱이 새끼를 낳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는지 아직도 젖을 먹어야 하는 망아지가 다리 사이에서 젖을 먹으며 어미를 쫒아 오고 있어 안쓰러울 지경이다.

그러나 말 위에 올라탄 선비는 말의 사정 따위는 안중에도 없고, 스쳐 지나가는 남의 부인을 훔쳐보는 데 온 정신을 팔고 있다.

또 붉은 색 말안장 옆으로는 생황 한 자루가 보이는데, 이로 보아 선비는 풍류를 즐기는 한량으로 보인다.

그래서일까 아이를 안고 남편과 동행하고 있다는 상황을 알면서도 선비는 여인의 얼굴을 훔쳐보고 있다.

부채로 입을 가려 표정을 읽을 수는 없지만, 젊은 아낙을 향한 선비의 시선은 매우 노골적으로 보이고, 선비의 음흉한 시선을 느낀 부인은 한손으로 녹색 장의를 잡고 얼굴을 감추고 있다.

한편 남의 아내를 향해 은밀한 욕망을 감추지 않는 선비와 달리, 말을 끄는 맨발의 더벅머리 말구종은 이런 일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듯 한눈팔지 않고 자기 갈 길만 가고 있다.

양반 신분의 유부녀를 대놓고 훔쳐보는 것은 남녀가 유별한 조선 시대에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내외를 하기 위해 여자들은 외출할 때 쓰개를 썼고 남자들은 차면이나 부채를 들고 다니며 얼굴을 가렸다.

그런데 풍속화 속에 등장하는 남자들은 내외를 빙자해서 오히려 음흉한 시선을 여자들에게 보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은밀하면서도 노골적인 남자들의 성적 욕망을 풍자하기 위해 풍속화에서 일부러 그런 장면을 강조해서 그린 것일 수도 있지만,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이덕무(李德懋 1741~1793)가 선비들을 위한 수신서로 쓴 「사소절」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오는 것을 보면, 그 당시에 남자들이 여인의 모습을 훔쳐보는 것이 그리 드문 일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어떤 사람은 길에서 고운 옷 입은 부인을 만나면 반드시 머리를 돌리어 주시하고, 심지어는 궁인(宮人)의 유모(帷帽 : 너울) 드리운 것이나 여염집 여인의 규의(袿衣 : 장옷) 걸친 것도 반드시 곁눈질하니 그것은 누추한 버릇이다. 마땅히 멀리 피하고 절대로 곁눈질하지 말아서 나의 몸을 삼가 가져야 한다.

'노상풍정', 김홍도作, 1778년, 비단에 옅은 채색, 90.0cm×42.7cm, 《행려풍속도병》(8곡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노상풍정', 김홍도作, 1778년, 비단에 옅은 채색, 90.0cm×42.7cm, 《행려풍속도병》(8곡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단원이 그린 풍속화 병풍인 《행려풍속도병》에도 같은 주제의 장면이 나오는데, 이 그림에서는 인물의 방향을 <풍속도첩>과는 반대로 그렸다.

소를 타고 오는 가족 일행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고 있고, 한 명의 선비가 더 등장하여 모두 두 명의 선비와 한 명의 말구종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행려풍속도병》에 있는 <노상풍정>의 경우, 아이를 업은 아비의 얼굴이 더 젊고, 소를 타고 오는 부인은 삼회장저고리를 입고 있다.

복건 위에 갓을 쓰고 있는 두 양반의 복장으로 보아 날씨는 비록 쌀쌀해 보이나, 그림의 상단에 그려진 나무에 잎이 하나 둘 올라오고, 새들은 짝짓기를 하려고 구애 중이고, 땅을 갈기 위해 소를 몰고 가는 목동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농사를 시작하려는 초봄의 어느 날로 보인다.

여성에 대한 호기심이 강한 젊은 선비는 부채로 얼굴을 가리는 척 하면서 여성의 얼굴을 보려 하고, 뒤를 따르는 나이 지긋한 선비는 남의 여자에게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두 손을 소매 안에 넣고 여유롭게 말 위에 앉아 있다.

화면 왼쪽 상단에 강세황이 이 장면에 대한 설명을 화제로 적어 놓았는데, 남편과 아이가 있는 시골 아낙에게도 눈길을 주는 남자의 훔쳐보기 본능을 꼬집고 있다.

소등에 탄 시골 아낙 牛背村婆

무엇으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리오. 何足動人

길가는 나그네 말고삐를 늦추고 而行子緩轡

뚫어지게 바라보니 注眼以視

이 같은 순간적인 모습이 一時光景

사람의 웃음을 지게 하네. 令人笑倒

-『조선시대 풍속화』(특별전 도록), 국립중앙박물관, 2002, 289쪽

'기생 훔쳐보기' 성협作 (생몰년미상), 종이에 옅은채색, 20.8cm× 28.3cm,《풍속화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기생 훔쳐보기' 성협作 (생몰년미상), 종이에 옅은채색, 20.8cm× 28.3cm,《풍속화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말기의 풍속화가인 성협이 그린 풍속화첩에도 차면으로 얼굴을 가린 채 지나가는 기녀들을 노골적으로 훔쳐보는 선비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 있다.

차면 위로 빤히 바라보는 남자의 노골적인 시선이 불쾌한 기녀는 대놓고 고개를 돌리며 싫은 기색을 보인다.

《행려풍속도병》의 <노상풍정>이나 성협의 그림 <기생 훔쳐보기>에는 배경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고, 등장인물들의 움직임도 부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다.

이에 비해 배경을 생략하고 등장인물과 그들이 연출하는 사건을 강조한 《단원풍속도첩》의 <노상파안>은 긴장감이 느껴진다.

또 이 그림은 숨은 그림 찾기처럼 그림의 구석구석을 들여다보는 즐거움을 주며, 색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젊은 선비의 안장은 붉은색으로, 젊은 아낙의 장옷은 푸른색으로 칠해 강한 색채 대비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붙잡는 동시에 이야기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도 알려준다.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로 김해 김씨이고, 호는 단원이다.

그는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산수화·인물화·도석화·풍속화·영모화·화조화 등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김홍도의 풍속화에는 특히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력, 서민들의 생활에 대한 깊은 공감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단원 김홍도 연구(진준현, 일지사, 1999)

조선 풍속사1-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강명관, 푸른역사, 2016)

조선시대 풍속화 특별전 도록(국립중앙박물관, 2002)

조선의 잡지(진경환, 소소의 책, 2018)

청장관전서(이덕무,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