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액 자산기일수록 상속·증여 의지 높아...부동산 비중은 축소 추세
하나은 '2020 부자보고서', 평균41세에 종잣돈 모아 사업으로 성공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우리나라의 10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한 부자들의 주된 재산축적 방법은 '사업소득'과 '부동산투자'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평균 41세에 시드머니(종잣돈)를 마련해 부를 일궜는데, 종잣돈 마련 방법으로도 사업을 통한 방법이 가장 많았지만 상속과 증여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하나은행 PB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내역을 분석한 '2020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를 지난 2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부자들의 경기 전망과 부동산, 금융자산,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행태 변화, 자산축적 및 노후준비 계획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픽=픽사베이]
[그래픽=픽사베이]

◇ 평균 41세에 '사업' '재산 물려받아' 종잣돈 마련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국내 부자들은 평균 41세에 부자가 되기 위한 시드머니를 마련했다.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수단으로는 사업소득이 32.3%로 가장 많았다. 상속 및 증여(25.4%)가 그 뒤를 이었고, 이어 근로소득, 부동산투자 순이었다.

시드머니 확보 평균연령 41세부터 현재 평균연령 68세까지 자산 축적에 가장 크게 기여한 수단으로도 사업 소득(31.5%)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시드머니 확보 수단과는 다르게 부동산투자(25.3%)였다.

이에 비해 근로소득이 부의 축적에 기여했다는 응답은 15.1%에 그쳐 사업소득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부자들이 축적한 재산을 사용하는 곳은 노후준비가 절반(50%)을 차지했고, 상속이나 증여한다는 비중도 43%나 됐다. 기부한다는 비중은 3%에 그쳤다.

특히 자산이 많을수록 노후준비보다 상속이나 증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안성학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더 많은 자산을 보유한 부자일수록 노후준비보다 후세대에 대한 상속 및 증여에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세금절감 이슈로 사전증여가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자들이 자녀에게 증여하는 시기는 평균 65.2세였으며, 이 때 증여를 받는 자녀의 평균 나이는 34.9세였다.

자녀 등에게 상속하는 시기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생명표 상의 평균 수명인 82.7세로 추정했다. 다만 부자들의 경우 훨씬 나은 환경과 의료서비스를 고려할 때 평균 수명보다는 다소 늦은 시기에 상속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자료=하나은행]
[자료=하나은행]

◇ 총자산 중 부동산 자산 비중 감소

지난해 부자들은 그동안 꾸준히 늘려왔던 부동산 비중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선제적으로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자들의 지난해 부동산 비중은 50.9%로 전년비 2.2%포인트 줄였는데, 이는 2013년 이후 6년 만에 감소한 것이다.

다주택자들의 주택 매도, 절세를 위한 증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부자들의 보유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상업용부동산이 4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거주목적주택, 투자목적주택, 토지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젊은 부자일수록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연령 부자일수록 상업용부동산 비중이 높았다.

자산규모별로는 거액자산가일수록 상업용부동산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특히 총자산 100억원 이상 부자들의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13%에 불과한 반면 상업용부동산 비중은 55%에 달했다.

거액자산가일수록 고가의 대형 상업용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안 연구위원은 "연령이나 자산규모 증가에 따른 부자들의 단계별 부동산 보유 형태는 투자목적주택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 부를 축적한 후 노후준비를 위해 상업용부동산 비중을 늘려나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 지자체의 부동산시장 합동 현장점검반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인근 부동산 밀집 상가의 한 중개사무소에서 부동산 실거래 조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0월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 지자체의 부동산시장 합동 현장점검반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인근 부동산 밀집 상가의 한 중개사무소에서 부동산 실거래 조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은퇴 후엔 '현재 사는 곳' 계속 살겠다

부자들이 은퇴 후 가장 선호하는 거주지는 바로 현재 사는 곳이었다.

무려 62.7%의 부자들이 이 같이 응답했는데 현재 사는 곳과 가까운 곳(17.9%)을 포함할 경우 은퇴 후에도 현재 사는 곳에서 크게 벗어날 생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서울 근교(10.6%), 해외(3.9%), 농촌, 산촌, 어촌 등(1.6%), 제주도(1.6%) 등 외국이나 외곽 지역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거주지로 현재 사는 곳이 선호되는 이유에 대해선 '현재 생활패턴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중이 67.6%에 달했다.

이어 여유로운 생활(13.2%), 의료시설 등 편의시설(12.4%)로 순이었다.

안 연구위원은 "부자들은 현재 사는 곳에서 충분히 여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거나 각종 편의시설 향유에 만족하고 있었다"며 "결국 귀농 및 귀촌이나 해외거주보다는 현재 생활에 크게 만족하면서 이미 준비된 노후자금을 바탕으로 현재 생활패턴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