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혼인·혈연관계 아니어도 주거와 생계를 공유하면 가족"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혼인이나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가족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가족다양성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9.7%는 “혼인·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생계와 주거를 공유한다면 가족이 될 수 있다”고 응답했고 “함께 거주하지 않고 생계를 공유하지 않아도 정서적 유대를 갖고 있는 친밀한 관계이면 가족이 될 수 있다”는 답변도 39.9%를 차지했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조사에서는 ‘외국인과 결혼하는 것’(92.7%), ‘이혼 또는 재혼’(85.2%), ‘성인이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것’(80.9%)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결혼하지 않고 같이 사는 것’(비혼동거·67.0%)과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비혼출산·48.3%)에 대해서도 지난해 같은 조사 대비 상승 추세를 보였다.

특히 “다양한 가족을 포용하기 위하여 가족의 범위를 사실혼과 비혼 동거까지 확장해야 한다”는 데에 응답자의 61.0%가 찬성 입장을 표했다.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에 대해서도 29.5%만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지만 지난해 대비 높은 긍정률을 기록했다.

현재 태어난 자녀의 성과 본이 원칙적으로 아버지를 따르도록 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73.1%가 “출생신고 시 부모가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한부모 가족의 자녀’(81.2%), ‘입양된 자녀’(80.4%)에 대한 수용도가 높았고, ‘다문화 가족의 자녀’(79.7%) 수용도도 전년 대비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혼인 외의 출생자(혼외자)’와 ‘혼인 중의 출생자(혼중자)’라는 표현을 폐기해야 한다는 응답자도 75.9%에 달했다.

[표=여성가족부]
[표=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 가족 개념이 전통적 혼인·혈연 중심에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수용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또한 “다양한 가족에 대한 정책 지원 및 차별 폐지 필요성 인식 정도, 가족다양성 포용을 위한 제도 개선에 대한 동의 정도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다양한 가족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다양한 가족에 대한 국민들의 수용도가 작년 조사 결과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조사 결과를 참고해 다양한 가족에 차별적인 법·제도를 개선해 나가는 한편, 가족다양성에 대한 포용적 인식 확산을 위하여 대중매체 모니터링과 교육, 캠페인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사 개요>

○ 시기 : ’20.5.18.(월) ∼ 5.29.(금)

○ 대상 :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일반 국민

○ 규모 : 총 1500명(95%신뢰수준 ±2.53%p)

※ 표본추출 : 유/무선 RDD(Random Digit Dialing) 시스템 활용(유선 : 무선 = 3 : 7)

○ 내용 : 가족의 의미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수용도, 정책 지원 필요성, 가족 포용을 위한 제도 개선 동의 정도 등 (32개 문항)

○ 방법 : CATI(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ing) 시스템을 활용한 전화조사

○ 기관 : 엠브레인 퍼블릭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