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전셋값 상승폭 5년5개월만에 최고...이달이 더 걱정
수도권·지방 모두 올라...서울 강남4구·경기도·세종 등 오름폭 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지난달 전국의 전셋값이 5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새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과 가을 이사철 등의 영향으로 전세매물 부족 현상이 계속되면서다.

한국감정원이 5일 발표한 9월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종합 전셋값은 0.53% 올라 전월(0.44%)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이는 2015년 4월(0.59%) 이후 가장 많이 상승한 것이다.

반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달 보다 오름폭을 줄이며 급속하게 안정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매물정보가 안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마포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매물정보가 안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전국 전세값 5년5개월만에 최고폭 상승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12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전셋값 변동률은 올해 1월 0.28%에서 시작해 2~5월에는 줄어들어 5월 0.09%까지 내려갔지만 6월 0.26%로 반등한 뒤 7월 0.32%, 8월 0.44%, 9월 0.53%로 4개월 연속 오름폭을 키우고 있다.

임차인 보호를 위해 시행된 새 임대차 법에 따라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주택에 눌러앉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세 물건이 부족해졌고, 집주인들은 4년 뒤에나 새로운 계약을 할 수 있어 미리 보증금을 올린 때문이다.

지난달 전셋값은 수도권과 5대 광역시, 지방 등 모든 지역에서 대부분 올랐다.

수도권 주택 전셋값은 0.65% 올라 전달(0.54%)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2015년 6월(0.72%) 이후 5년 3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경기도는 0.85% 올라 전달(0.71%)보다 상승폭을 키우며 5년 5개월 만에 최고로 올랐고, 인천도 0.52%를 기록하며 전달(0.17%)보다 오름폭을 크게 확대했다.

서울은 0.41%로 전달(0.43%)에 비해선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서울에서는 서초구(0.63%), 송파구(0.59%), 강남구(0.56%), 강동구(0.54%) 등 '강남 4구'의 전셋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성동·노원·동대문구(0.49%), 마포구(0.44%), 구로구(0.37%) 등도 서울의 다른 곳보다 오름폭이 컸다.

5대 광역시도 모두 전셋값이 전달보다 올랐다.

울산이 0.96%에서 1.40%로, 대전이 0.97%에서 1.01%로 각각 오르며 1%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은 0.16%에서 0.25%로, 대구는 0.17%에서 0.36%로, 광주는 0.09%에서 0.18%로 각각 상승폭을 키웠다.

지방은 전체적으로 전달 0.34%에서 지난달 0.41%로 더 올랐다.

세종시는 지난달 전셋값이 5.69%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세종시는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전셋값이 26.23% 폭등한 것으로 집계됐다.

◇ 매매가격은 상승폭 축소...급속히 안정

반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42% 올라 전달(0.47%)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수도권은 0.52%에서 0.43%로, 서울은 0.42%에서 0.27%로 각각 오름폭이 축소됐다.

지방도 0.43%에서 0.41%로 줄었고, 5대 광역시(0.44%→0.62%)와 8개도(0.26%→0.21%) 역시 오름폭이 전달보다 축소됐다.

세종시는 주택 매맷값 상승률이 3.83%로 전달(7.69%)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감정원은 "수도권의 경우 부동산 관련 세제를 강화한 7·10 대책과 8·4 공급대책, 코로나19 재확산 등 영향으로 주택 매매시장의 관망세가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서울 집값은 동대문구(0.42%), 중랑구(0.38%), 성북구(0.36%), 강북·광진구(0.35%), 관악구(0.34%) 등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으나 송파구(0.11%), 서초구(0.13%), 강남구(0.16%), 강동구(0.19%) 등 강남 4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올랐다.

경기도 주택가격은 하남·구리·광명 등 그동안 많이 오른 지역 위주로 상승폭이 축소됐고, 인천은 교통·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에서 변동률이 소폭 확대됐다고 감정원은 분석했다.

지방에서는 대전(1.19%)과 대구(0.72%) 등은 상승했고, 제주(-0.09%)는 경기침체 우려와 신규 입주 물량 영향 등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