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식음료 가격 바로 잡고 그린피 인하로 대중화 앞당겨야

[사진=픽사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해외 여행 인구가 급격히 줄면서 국내 골프장 그린피가 크게 상승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박민수 편집국장】 ‘골프장 그린피가 미쳤다’

당연히 골퍼들의 불만도 하늘을 찌른다.

코로나19로 해외 골프 여행은 사실상 막히면서 이 수요가 국내 골프장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 골프장은 때 아닌 호황이다.

내장객이 늘어나는 만큼이나 골프장의 횡포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메뚜기도 한철’이라고 골프장들은 그린피에 카트비, 캐디피까지 물 만난 고기 마냥 마구 올리고 있다.

퍼블릭 골프장의 경우 주중 12만원 안팎이던 그린피는 18만원까지 올랐다.

주말도 17·18만원에서 20만원을 훌쩍 넘겼다.

게다가 카트비는 8만원에서 9만원 일부 골프장은 10만원도 받는다.

여기에 음식 값은 더 기가 찬다.

삶은 계란 한알에 2000원에서 3000원, 술집에서 4000원하는 막걸리와 500cc 생맥주는 1만원 넘게 받는다.

아침 해장국 한그릇이 1만8000원, 많게는 3만5000원이나 받는 곳도 있다.

대다수 골프장들은 코로나19를 핑계삼아 클럽하우스 내 목욕탕에 물도 다 뺐다.

방역을 이유로 샤워시설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골프장으로서는 당연히 비용이 절감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도 골프장들은 그린피를 최대 30%까지 뻔뻔스럽게 올리고 있다.

카트비 인상도 마찬가지다.

카트 1대당 가격은 대략 700~1500만원선, 카트 1대를 하루 2회 돌릴 경우 18만원, 한달이면 수익이 540만원이다.

3개월만 지나면 본전 뽑고 이후 사용 연한 10년은 그냥 땅 짚고 헤엄치기 남는 장사다.

그래서 대다수 골프장들은 카트 운영회사를 따로 세워 영업중이다.

물론 이 회사는 골프장 오너의 자제 혹은 친인척이 주인인 경우가 대다수다.

그렇게 비싸면 안가면 되지 않느냐고 하면 할말은 없다.

그러나 국내 골프 인구는 1000만명을 넘어서 이미 대중화의 길로 접어들었다.

코로나19로 온 나라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임대업자는 임대료를 인하하고,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과 세금까지 감면하는 등 국민 전체가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골프장만은 딴 나라 이야기다.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제 잇속만 챙기겠다는 심사다.

그런데도 골프장 부킹은 하늘의 별따기다.

주말은 물론 주중에도 풀 부킹이라고 한다.

배짱장사를 해도 누구하나 뭐라고 하는 사람이 없다.

고삐 풀린 그린피가 마침내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등장했다.

이 청원의 요지는 4가지다.

첫째 코로나 정국을 틈탄 지나친 그린피 인상.

둘째 우리나라에만 있는 외제 슈퍼카 렌트비와 맞먹는 카트비.

셋째 오로지 현금으로만 계산되어 세금 한푼 내지 않는 캐디피 인상.

넷째 골프장 내 식음료의 터무니없는 가격을 바로 잡아달라는 것이다.

이 청원인은 ”이 부분을 지금처럼 방치하면 대중스포츠로 점점 자리매김하는 골프가 다시 일부 상류층만의 리그로 회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퍼 맞는 말이다.

과거 골프는 일부 부유층만의 전유물처럼 사치스런 운동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

여기저기 스크린골프장이 들어섰고 20대 젊은층도 앞다퉈 그린을 밟으러 나서고 있다.

이 청원인은 이어 ”공정위에서 가격인상을 주도하는 퍼블릭 골프장 협회 등을 적극 조사해야 하며 외국 사례들을 기준삼아 카트비는 무료화 하든지 노카트로 운영되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정부는 지난 2000년 골프 대중화를 목표로 회원제 골프장의 대중제 전환을 유도했다.

대중골프장으로 전환하면 내장객 1인당 특별소비세를 4만원이나 깎아줬다.

당연히 정부는 골프장의 요금에 관해 관리 감독을 해야한다.

입장료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세워야 한다.

골프장들이 감면받는 세액만큼 내장객에게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

지난 12일 올라온 ‘골프장 운영개선’ 청원은 20일 현재 2만4400여명이 동의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골프장이 모여 있는 곳으로 알려진 용인시 체육관광과는 최근 그린피 인상에 대한 질문에 ”사기업이 운영하는 곳인만큼 법으로 이를 규제할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수요와 공급에 따라 정해지는 것인 만큼 지자체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사사건건 시장에 개입하기 좋아하는 정부가 왜 골프장 그린피 인상에는 뒷짐을 지고 있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골프 전문지의 편집국장을 지낸 C모씨는 ”국내 골프장의 경우 내장객의 선택권이 철저히 무시되고 있다“며 ”내장객은 골프장에서 결정하는 대로 따를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C 국장은 ”내장객이 캐디를 지정한다든지 아니면 노카트로 라운딩을 할 수 있게 한다든지 골퍼 입장에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골프장의 출현도 고민해볼만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노캐디 노카트 등의 옵션을 골퍼들에게 제공할 경우 골프장 그린피의 가격 인하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대중화 시대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대중골프장의 세금을 크게 감면해줬는데 이 혜택이 골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오히려 그린피 상승으로 이어진다면 정부가 직접 나서서 가격을 통제해야 한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던 시절’은 지났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