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의 의미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석진보 JB재무컨설팅 대표(경영지도사)】 기업부실은 관련 용어로 경영실패, 지급불능, 채무불이행, 파산 등이 있는데 일시적이든 만성적이든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상대방 기업이나 은행 등 채권자에게 채무이행을 하지 못하고 지급불능 상태에 놓인 것을 의미한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제2조 7은 부실징후기업을 “주채권은행이 신용위험평가를 통하여 통상적인 자금차입 외에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자금 유입 없이는 금융채권자에 대한 차입금 상환 등 정상적인 채무이행이 어려운 상태에 있다고 인정한 기업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시행령 제 4조에 따라 채권은행은 거래기업에 대해 매년 1회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신용위험 평가를 해야만 하기에 늘 기업의 부실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비단 은행뿐 아니라 투자자나 상대방 기업이나 어떤 형태의 채권자이든 기업의 부실에 늘상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기도 하나, 그 무엇보다 기업을 운영하는 경영자로서는 자신의 기업은 당연히 부실화의 길을 걸어서도 안 될뿐더러, 거래 상대방 기업 또한 부실화에 길에 놓이지 않기를 바랄 것이다.

그러면 기업부실은 왜 생기는 것일까? 어떤 연유로 부실화 과정에 놓이는지,그 원인은 무엇이고, 어떤 형태를 띠게 되면 부실의 징후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는 것일까?

그 징후를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응책을 가져가야 하며, 위기를 넘어 성공기업으로 가기 위해서는 무슨 전략과 계획과 실행방안을 가져야 하는지 중소기업 경영자에게는 너무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먼저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실 현황은 어떠한지 먼저 살펴본다.

부실기업(경영위기)의 현황

금융감독원의 2019년 정기신용위험평가 결과에 의하면, 210개 사가 부실징후 기업으로 선정되었는데 그중 대기업은 9개 사, 중소기업은 201개 사인데, 문제는 대기업은 2015년 이래 감소추세지만 중소기업은 증가추세이며, 더구나 중소기업의 경우 부실징후가 더욱 강한 D등급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부실징후기업 수 추이>표에서 보듯 부실징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기업은 ’15년 23.6%에서 ‘19년 4.3%로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은 ’15년 76.4%에서 ‘19년 95.7%로 확대되었다.

이들 부실징후기업(C‧ 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워크아웃․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 및 부실 정리가 있을 것인데 기업이 정당한 사유 없이 구조조정을 지연하는 경우, 주채권은행은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기업의 상환능력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게 되어 있다.

한편,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의 경우 위기 극복 및 경영정상화 방안으로 1) 은행들의 중소기업 신속 금융지원 프로그램과 프리워크아웃 제도 나, 2) 금융위, 중기부, 중진공의 중소기업 재기 지원 사업, 3) 금융위, 캠코의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를 통한 지원방안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겠다.

여기서 금융권의 신속 금융지원은 은행간 협약에 따른 공동지원 중심인 반면, 프리 워크아웃은 채권은행 단독으로 만기 연장, 신규자금 지원 등 단독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부실의 원인

다음으로 부실은 어떠한 연유로 발생하게 되는 것인가? 부실의 발생원천에 따라 기업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겠다.

외부적 요인은 <부실(경영위기)의 외부적 요인> 표에서 보듯 외부의 환경이나 제도변경, 시장변화, 자연재해 등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힘에 의해 기업의 부실을 초래하는 요인이며, 내부적 요인은 <부실(경영위기)의 내부적 요인> 표에서 보듯, 예측의 실패, 통제시스템 부재, 재무계획 관리의 실패, CEO Risk, 인적 조직관리의 실패, 기업문화의 미성숙, Risk 예방/관리시스템 미비, 외부평가 등 기업내부의 실패와 연유로 인해 기업의 부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다음회에 계속)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