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 당분간 이어질 것...코로나 이후 국내 자산가격 급등 부작용 우려

서울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한국은행은 지난 14년 동안 국내 집값 변동의 70% 이상은 수급 등 국내 원인이라며, 최근 집값이 급등한 것도 공급부족 우려와 전셋값 상승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한은은 또 부동산·주식의 영끌·빚투와 코로나19 관련 생활고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가계대출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 주택가격 변화의 70% 이상은 '수요 부족' 등 국내요인 때문

한은은 11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주택가격(2006년 1분기~2020년 2분기 분기별)과 주가(2020년 1~12월 주별) 변화율을 글로벌 공통 요인과 나라별 요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주택가격 변화의 71%는 국내 요인으로 설명됐고, 주가의 경우는 반대로 세계 공통요인의 영향 비중이 72%를 차지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의 원인으로는 우선 시장의 '공급부족' 예상이 지목됐다.

한은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신규아파트 공급 축소, 주택가격 추가 상승 기대에 따른 매물 감소 등으로 향후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전세가격 상승도 주된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한은은 "최근 전세가격 상승은 수도권 중저가 주택을 중심으로 전세수요를 일부 매매수요로 전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주가가 급등한 것에 대해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수요 증가, 백신 개발 기대 등과 함께 전기전자·화학·의약품 등 수혜업종의 실적 개선 기대가 커지면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충격이 주식시장에 상장된 소수 기업보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 비상장기업에 집중된 사실도 배경으로 거론됐다.

◇ 당분간 대출 증가세 이어질 것...자산가격 급상승 부작용 우려

한은은 또 보고서를 통해 가파른 가계대출 압력과 가파른 증가세를 우려했다.

주택 관련 대출 증가 요인으로는 완화적 금융여건 지속에 대한 기대, 주택 매매·전세 거래 수요, 대출 의존도가 높은 30대 이하 주택 매매거래 비중 확대 등을 꼽았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역시 주식투자를 위한 차입수요, 코로나19 관련 생활자금 수요 등을 고려할 때 증가세가 크게 줄어들기 어렵다는 게 한은의 예상이다.

한은은 "최근의 주택거래 현황과 개인의 차입투자 증가세, 코로나19 관련 자금수요 등에 비춰 볼 때 당분간 가계대출 압력은 이어질 것"이라며 "향후 통화정책 운영에서 금융 불균형 위험 누적 가능성에 유의해 주택시장으로의 자금 흐름,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근 급격한 자산 가격 상승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됐다.

한은은 "경제위기 후 경기회복 국면에서 자산가격 상승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지만 이번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내 자산가격 상승세는 빠르다"며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자산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 자산불평등, 금융 불균형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