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반도체 회의서 '중국견제·공격투자' 강조...인텔, 자체설비 전환 차량용 생산 예고
삼성전자, 중국 눈치에 차량용생산 압박까지...재계 "미국 투자 더 이상 미룰 수 없을 것"

12일(현지시간) 열린 백악관 반도체 서밋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내가 여기 가진 칩, 이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이 모든 것은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사진=AP/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미국 백악관 주재로 열린 반도체 화상회의는 두 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차량용 칩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 견제'와 '공격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계의 강자 삼성전자의 고민은 더 깊어졌다.

주요 거래국인 중국과의 관계를 해칠 수 없는 상황 속에 그동안 주력하지 않았던 차량용 생산확대에 대한 압박이 거세지면서 '첩첩산중' 상황이 도래한 것이다.

1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은 글로벌 기업이 참석한 화상회의에서 중국 반도체에 대한 불편한 심리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

바이든은 "중국과 세계의 다른 나라는 기다리지 않는다"라며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가 없다"라고 말했다.

산업 전 방면에 미·중 패권 경쟁이 다시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차세대 먹거리에 공격적인 투자와 인력 양성에 힘쓰는 중국을 견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글로벌 기업들을 향한 투자 압박이 유독 거셌다. 이날 회의에는 대만 TSMC와 삼성전자, HP, 인텔, 마이크론,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석했다.

바이든은 "우리는 어제의 인프라를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며 "이는 미국의 연구와 개발이 다시 훌륭한 엔진이 되도록 할 것"이라며 과감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화상회의에 참석한 기업들 중 특히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에 뛰어든 이들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바이든은 직접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이면서 "내가 여기 가진 칩, 이 웨이퍼, 배터리, 광대역, 이 모든 것은 인프라"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이에 인텔은 화상회의 직후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 돌입해 백악관의 우려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인텔은 그동안 개인용컴퓨터(PC)와 서버용 반도체 칩에 주력해왔지만, 차량용 반도체 기근을 진화하기 위해 자체 설비 일부를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같은 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6~9개월 내에 실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차량용 반도체 설계업체(팹리스)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인텔 측은 기존 공장 라인을 전환하고 차량용 반도체 인증을 받는 데까지 약 6개월이 소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미 인텔이 반도체 팹리스 업체와 계약을 진행 중이며 미국과 이스라일, 아일랜드에 있는 공장이 전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하겠다고 밝히며 "(미국 내) 반도체 생산능력과 연구개발, 교육, 일자리 등에 대한 투자가 더 시급하다고 바이든 대통령과 참모진에게 건의했다"라고 말했다. [사진=인텔 제공]

이에 삼성전자는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중국과의 이해관계를 따져야 하는 상황 속에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압박까지 거세지면서 수익성이 낮은 사업에도 뛰어들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텔은 본거지가 미국이고, 하반기에 추진될 것으로 보이는 바이든의 인프라 경기부양책의 최대 수혜자로 떠오르는 만큼 이날 백악관에서 강조된 중국 견제와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데 큰 부담이 없다.

반면 삼성전자는 매출 추이만 살펴봐도 인텔과 다른 상황에 놓여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전체 중국 매출은 약 37조8067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16%를 차지한다. 현재 시안에 해외 유일 메모리 공장으로서 낸드플래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이날 회의에서 강조된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확대해야 하는 과제도 직면했다.

전문가들은 GM, 포드 등 완성차 기업이 자리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네덜란드 NXP를 대상으로 차량용 사태에 대처해 달라는 '무언의 압박'이 컸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분야에서 글로벌 최강자지만 차량용 반도체는 거의 생산하지 않고 있다. 초미세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폰·PC·클라우드 서버 등 제품 교체 주기가 짧은 기기에 탑재되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차량용은 최장 10년 이상 운행되는 자동차에 탑재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다.

이에 업계에서는 백악관의 기조에 따라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대만 TSMC와 같은 파운드리 강자들이 어쩔 수 없이 차량용 칩 생산을 확대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의 미국 오스틴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삼성전자/연합뉴스]

때문에 삼성전자는 조만간 미국 내 대규모 투자 여부를 결정짓고 미국의 압박에 답변을 내놔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대규모 투자와 관련된 의사결정이 지연되고 있지만 미국 투자만큼은 더는 결정을 미룰 수 없게 됐다"라며 "백악관의 초청까지 받은 상황 속에서 서둘러 투자계획을 공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화상회의에 참석한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은 미국으로부터 어떤 주문을 받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입해 추가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하고, 텍사스주 오스틴시를 유력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텍사스 주정부와도 인센티브 등 다양한 요소를 놓고 생산라인 증설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