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태화동 배롱나무

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안동 태화동 배롱나무는 서악사 법당 앞에 서있는 정원목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안동 태화동 배롱나무는 경덕중학교 뒷산인 태화산 기슭 서악사(西岳寺) 법당 앞에 서 있는 근사한 나무다.

이 배롱나무의 수령은 200년 정도이고 가슴높이 둘레는 1.2m 정도인데 높이가 10m에 이른다.

배롱나무가 그리 크게 자라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큰 배롱나무라 할 수 있다.

배롱나무 특유의 매끈한 수피가 눈에 띈다.

배롱나무는 여름에 붉은 꽃을 백일 동안 피운다고 해서 백일홍나무라 부르다가 연음되면서 ‘배롱나무’라는 특별한 이름을 갖게 된 나무다.

여름에 피는 꽃뿐 아니라, 매끈한 줄기도 아름다워 사찰에서 정원수로 많이 심어 키운다.

안동 태화동 배롱나무 역시 약 200년 전에 서악사에서 정진하던 승려들이 법당 주변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정원수로 심어 키운 나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서악사는 석양이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워 ‘서악사루전일락(西岳寺樓前日落)’이라 하여 안동팔경 중의 하나로 꼽힌다.

통일신라 후기 경문왕(景文王:?~875) 때에 풍수지리의 대가인 도선국사가 안동 지역의 지덕(地德)을 돕기 위한 비보사찰(裨補寺刹)로 창건한 절집으로 알려져 있다.

안동의 역사를 기록한 '영가지(永嘉誌)'에도 서악사를 안동의 풍수를 보완하기 위해 지은 절집으로 기록하고 있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도선국사가 처음 절을 지었을 때는 구름이 머무르는 누대와 같은 절집이라 해서 운대사(雲臺寺)라고 했는데, 나중에 안동의 사악(四嶽) 중 하나인 서악(西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악사로 이름을 바꿨다.

절집의 기록인 '서악사기(西嶽寺記)'와 '태화산운대사상량기문(太華山雲臺寺上樑記文)'에 따르면 영조 20년인 1744년에 태화산 중턱에 있던 서악사를 지금의 자리로 옮겼으며, 다시 4년 뒤인 1748년에 대규모 중창 불사가 있었다고 한다.

서악사 아래의 골짜기는 안쪽이 넓고 입구가 좁아 송곳 구멍 같다고 해서 송골굼이라 부르는데, 이 골짜기에는 관왕묘(關王廟)라는 유적이 있다.

관왕묘는 중국 촉한(蜀漢)의 장수 관우(關羽)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관우 사당은 안동 관왕묘 이외에 서울 숭례문 밖 남관왕묘(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6호), 서울 흥인문 밖에 동관왕묘(보물 제142호)가 있고, 지방에도 경북 성주, 전남 강진, 전북의 남원에 있다.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30호로 지정된 안동 관왕묘는 1598년(선조 31) 안동에 주둔하던 쉬후첸(薛虎臣)이 지었다고 한다.

안동향교와 마주 보고 있는 것을 꺼려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904년 해체 ·복원한 것으로 관왕묘 중 석상(石像)을 모신 유일한 곳이다.

태화동 서악사 배롱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절경에 아름다움을 더하며 많은 사랑을 받아온 소중한 나무다. 

<안동 태화동 배롱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06-04-01
·보호수 지정 일자 2006. 12. 4.
·나무 종류 배롱나무
·나이 200년
·나무 높이 9.5m
·둘레 1.2m
·소재지 안동시 태화동 605-1 서악사
·위도 36.561831, 경도 128.709741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