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연합뉴스]
[일러스트=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최근들어 계속되고 있는 부동산 가격 급등에 전체 가구의 순자산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국민대차대조표에 의하면 가구당 순자산은 지난 2015년 말 3억8515만원에서 5억1220만원으로 5년 사이 32.9%(1억2705만원)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2.2%로 확인됐으며,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는 이보다 높은 71.7%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구의 순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집을 가진 가구와 없는 가구간의 자산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을 가진 가구의 경우 부동산 가격 급등을 자산이 크게 늘어난 반면, 집이 없는 가구는 자산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수년간 서울 등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은 적게는 수억원에서 많게는 십억대 이상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내 자산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임금 등 기타 소득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지난해 가구당 경상소득은 5924만원이었고, 지난 2015년은 약 5197만원으로 추정돼, 최근 5년간 13.9%(727만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소득으로 자산을 불리기 어려워지자 많은 가구에서 무리하게 부동산 및 주식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1666조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의 1504조6000억원보다 10.72%(161조4000억원) 늘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이후 저금리 기조 속에 증시와 부동산 시장은 오히려 활황이 유지됐고, 영끌 및 빚투가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될 경우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버블 붕괴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빚을 내 집을 사거나 주식투자를 한 가구의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자 부담이 누적될 경우 손해를 보더라도 팔아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같은 사례가 누적될 경우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이 될 수 있다.

실제 이와 같은 현상은 과거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 성장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서 자산이 증가하는 것은 부동산의 부가가치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가 침체한 상황에서 유동성으로 부동산 가격이 올라 자산이 느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부채를 일으켜 부동산에 투자하고, 이로 인해 자산이 증가할 경우 금리 상승 등의 긴축기에는 가계의 부담 증가로 경제에 악재가 될 수 있다"면서 "부동산 보유자와 무주택자, 빚이 없는 부동산 보유자와 빚이 있는 보유자 사이의 양극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진방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도 "국민 자산이 증가한 것 자체는 좋은 것"이라면서도 "버블 붕괴 등으로 자산 가치가 꺼질 때는 문제가 될 수 있는 데다 부유층으로의 자산 쏠림으로 양극화는 더 심해졌다고 봐야 할 것"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