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정태성 행동경제학연구소 대표】 우연하게 넷플릭스에서 빅쇼트(The Big short)라는 영화를 봤다.

2015년에 만들어진 이 영화는 2008년 서브프라임발 금융위기에 대해 다룬 코미디 드라마 장르의 영화이다.

영화적 재미는 차치하더라도 영화는 주택담보대출이 중심이 된 각종 금융상품, 그리고 금융상품을 둘러싼 도덕적 해이, 이로 인한 세계금융시장의 몰락과 극한까지 내몰리는 서민들을 매우 친절하고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을 다루기도 하거니와 워낙 쟁쟁한 배우들이 대거 등장하기도 하며, 실제 금융위기 속에서 큰 돈을 번 마이클 버리와 같은 실존인물들을 다수 다루고 있어서 작품성이나 흥행성 모두를 잡았다고 볼 수 있는 영화이다.

한편 이 영화에서는 다수의 카메오가 출연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노벨경제학상에 빛나는 리처드 세일러 (넛지로 유명하며 리처드 탈러라고도 알려져 있음)이다.

일전에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리처드세일러 교수는 당시의 부동산 호황을 ‘핫핸드 현상’ 때문이라고 얘기했다.

농구 경기에서 어떤 선수가 연달아 공을 넣으면 또 넣을 거란 확신이 생기는 심리적 현상을 핫핸드 현상 (손이 뜨겁다고 해서 붙여진 현상)이라고 하는데 세일러 교수는 부동산 호황도 마찬가지로 가격이 계속 오르게되면 아무도 떨어질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사실, 이 영화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지기로 인한 금융위기의 원인에 대해 금융인의 도덕적 해이와 더불어 사람들의 심리 현상을 짚고 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이러한 면에서는 어떻게 보면 금융위기에 대해 군중들의 심리로부터 나오는 ‘Narrative’가 제일 중요한 요소라는 로버트 실러의 견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도 동료 행동경제학자인 리처드 세일러가 카메오로 나와서 핫핸드 현상을 설명한 것도 그런 맥락이 아닐까 한다.

군중들의 심리현상은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칼럼을 통해 계속 다루어야 할 주제이니 오늘은 ‘도덕적해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기로 하자.

2008년 금융위기를 몇 줄로 요약할 수는 없지만 대강 이렇다.

주택담보대출을 하는 대출기관들은 이 대출을 투자상품으로 만들어 투자자들에게 팔게 되는데, 대출기관들은 대출을 실행할 때 많이만 팔면 된다는 목적으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여 조건에도 맞지 않는 대출을 마구잡이로 해주었다.

다음 단계로 신용평가 기관은 이 대출들을 금융상품으로 만들어 투자자에게 팔 때 등급을 매기는 역할을 하는데, 등급 선정 시 역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여 나쁜 대출도 좋은 대출인 것처럼 등급을 매기는 일이 누적되어 결국 연이어 문제가 생기게 된 것이다.

신용평가기관은 신용등급평가를 해 주고 돈을 받는데, 자신들이 나쁘게 해주면 다른 신용평가등급기관으로 들고 갈까봐 실적 때문에 거짓평가를 한 셈이다.

이렇게 각각 단계에서 너무나 태연하게 도덕적 해이가 일어나 세계 금융위기까지 가져온 전형적인 사건이었다.

이러한 도덕적 해이를 경제학에서 풀어낸 사람이 책 저자로도 유명한 조셉 스티글리츠와 조지 애컬로프로 역선택과 도덕적적 해이를 설명한 공로로 200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도덕적 해이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도덕적 해이는 ‘나는 당신이 모르는 걸 안다’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현상, 즉 정보의 차이가 나는 현상을 정보의 비대칭성이라 부르는데 노동자는 고용주보다 자신이 얼마나 일을 열심히 하고 있는지를 잘 알고, 중고차 판매상은 팔고자 하는 차에 대해서 고객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다.

이럴 경우 정보가 많은 사람들 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 도덕적 해이이다.

어떤 일을 할 때 시키는 사용자가 있고 일을 대신하는 대리인이 있을 때, 현장의 일은 대리인이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더 잘 알 수 있다.

이런 대리인이 부적절하거나 비도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 대리인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행동을 할 위험을 가리키는 말이 바로 도덕적 해이이다.

예를 들자면 회사에서 주주를 대신하여 회사를 경영하는 전문 경영인에게 도덕적 해이가 일어날 수 있고, 굳이 주주가 아니더라도 투자자들을 대신하여 투자상품을 만들고 운영하는 금융기관 자체에서도 도덕적 해이가 일어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위에서 말한 2008년 금융위기였다.

정보비대칭으로 인한 또 하나의 현상은 이른 바 역선택 (Adversion selestion)이다.

판매자가 파는 물건에 대해 정보가 많은 상태에서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품질이 낮은 물건을 속여 판매할 가능성이 있게 되는데, 정보가 부족한 구매자는 불리한 물건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는 개념이다.

이런 역선택의 문제 때문에 구매자는 물건을 구입하기를 꺼려하고, 이 때문에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중고차 시장을 들기도 한다.

사실 앞서 말한 도덕적 해이 때문에 주주와 전문경영인 사이에서 연봉을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CEO의 연봉 협상 시 어느 선까지 기본급으로 하고, 어느 금액 이상으로는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로 할지에 대해 전문경영인과 주주간에 합의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진다고 봐야 한다.

마침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의 연봉이 약 7조원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런데, 헤드라인 말고 내용을 꼼꼼하게 살펴보면 머스크는 월급이나 현금 보너스는 받지 않고 테슬라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한 주식옵션 12개를 받았으며 이를 환산했을 경우의 얘기이다.

우리가 잘 아는 애플의 CEO 팀쿡의 경우는 미국 연봉 서열 순위 8위로 연봉이 약 3000억원이라 한다.

이 역시 기본급은 300만 달러로 35억원 정도이며 나머지는 다른 형태의 성과급이다. 과연 이런 대리인의 연봉은 옳게 책정된 것인가?

행동경제학에서는 돈이 동기부여의 전부가 될 수 없다는 얘기들을 한다.

댄 애리얼리 교수는 이전에는 CEO 연봉이 높아지면서 그만큼 비례해서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고, 최근 Payoff라는 책에서는 직원을 움직이게 만드는 동기는 성과급보다 칭찬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맞는 얘기인지는 우리가 계속 검토하고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시 빅쇼트 영화로 돌아가자.

제일 첫 부분에 마크트웨인의 유명한 어록을 소개해 준다.

“It ain't what you don't know that gets you into trouble. It's what you know for sure that just ain't so.”- 곤경에 빠지는 것은 당신이 몰라서가 아니라 확실하게 잘 알고 있다는 착각 때문이다.

지난 번 소개한 워비곤호수 효과로 설명할 수 있는 얘기이다. 자신이 평균보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착각, 자기본위 효과를 빅쇼트에서 가장 앞에 내세웠다. 

정태성 행동경제연구소 대표.
정태성 행동경제연구소 대표.

※ 필자소개 : 정태성 한국행동경제연구소 대표

2000년대 초반부터 기업의 전략, 마케팅과 스포츠 마케팅, 공공부문의 정책입안 등 다양한 컨설팅 업무를 진행해 왔다.

하지만 컨설팅 결과가 인간의 심리나 행동을 잘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고민을 하던 중, 행동경제학자인 서울대 최승주교수와 빅데이터분석 권위자인 한양대 강형구 교수와 의기투합하여 한국행동경제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

이후 정부와 기업 대상 행동경제학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강연 및 행동경제학 관련 칼럼과 영상을 통해 행동경제학을 보다 알기 쉽게 전파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