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최태원·최정우·신동빈 등 총수들 참여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공식 발족
수소 공급망 확보에 주력...투자촉진·정책제안으로 수소경제 강화 위한 협력 추진

현대차·SK·포스코 등 대기업 10개사로 구성된 한국판 수소위원회가 공식 출범한다. 사진은 지난 6월 현대차 수소전기트럭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의 모습. [사진=현대차/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수소사회를 앞당기기 위한 한국판 수소기업협의체가 닻을 올렸다.

8일 현대차와 SK, 포스코, 롯데, 한화 등 국내 주요기업 15곳이 참여한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총회에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최태원 SK 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 박정원 두산 회장, 조현상 효성 부회장, 이규호 코오롱글로벌 부사장, 김상범 이수그룹 회장 등 국내 그룹 총수들이 참석했다.

단일 기업으로는 허정석 일진 부회장, 구동휘 E1 대표이사, 최윤범 고려아연 부회장이 참석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도 총회에 참석했다.

이날 회원사들은 글로벌 수소 패권을 확보하기 위해 힘을 합치기로 약속했다.

이에 ▲수소사업 협력 추진 ▲수소 관련 투자 촉진을 위한 글로벌 투자자 초청 인베스터 데이 개최 ▲해외 수소기술 및 파트너 공동 발굴 ▲수소 관련 정책 제안 및 글로벌 수소 어젠다 주도 등을 통해 수소경제 강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최고경영자(CEO) 협의체로 운영되며, 매해 9월 정기 총회를 열고 주요 이슈와 현황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진다.

초기 멤버인 현대차·SK·포스코 등 3개 그룹은 공동의장사를 맡고, 현대차는 순번에 따라 회의체를 대표하는 첫 간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정의선 회장은 서밋의 출범을 축하하며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수소산업 생태계의 균형적인 발전이 늦었지만 우리 기업들이 전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만큼 못할 것도 없겠다는 자신감이 든다"라고 말했다.

이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개별 단위의 기업 경쟁력을 넘어 기업·정책·금융 부문을 하나로 움직이게 할 것"이라며 "수소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협의체는 우선 수소 생산 및 운송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망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소 공급원 다양화와, 자립적 수소 공급망 구축 등을 궁극적인 대응전략으로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차세대 수소 기술의 광범위한 센싱, 수소액화·수소액상화·CCU(탄소포집·저장기술) 등 향후 수소 경제의 핵심기술을 조기 확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외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급 및 투자 내용을 공유하고, 장단기 수요 창출을 위해 대정부 정책도 제안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정부에 탈탄소 핵심 수단으로 수소에너지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수소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의 '2021 수소모빌리티+쇼' 부스. [사진=포스코]

한편, 이날 총회에 참석한 15개 회원사들은 고양시 킨텍스에 열린 '수소모빌리티+쇼' 행사장을 함께 둘러봤다.

이번 행사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현대중공업, 두산, 효성, 코오롱, 일진 등이 참여해 수소모빌리티와 수소충전인프라, 수소에너지 등과 관련된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이외 에어리퀴드(프랑스), 에어프로덕츠(미국), AVL(오스트리아), 생고뱅(프랑스), 위첸만(독일) 등 주요 해외사도 부스를 꾸려 수소 경쟁력을 선보였다.

업계는 민간기업 주도의 첫 수소협의체가 세워진 만큼, 활용 분야에만 집중해온 국내 수소산업이 생산·저장·운송 등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밋의 사무국인 딜로이트컨설팅은 "글로벌 선도국 및 선도기업들이 현재의 수소 패권경쟁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바로 '대형화'와 '속도감 있는 전개'"라며 "협의체는 가치사슬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핵심기술 조기 확보 등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