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고용상황의 추가 진전이 전제임을 강조...8월 지표는 시장 전망치 못 미쳐
11월 정례회의 전 테이퍼링 조건 충족할 수 있을지 주목...외신 "9월 지표 방아쇠 될 것"

미국 일리노이주의 한 소매점 앞에 채용 공고가 세워져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시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고용지표 개선'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외신은 연준이 오는 11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구체적인 테이퍼링 계획을 공개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9월 일자리 지표가 향배를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27일(현지시간)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연설에서 "미국의 고용 상황은 여전히 '상당한 추가 진전'에 비해 부족하다"라며 "바라는 대로 진전이 계속된다면 곧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브레이너드 이사는 연준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갖고 있는 인물로, 연준의 차기 의장으로 거론되고 있기도 하다. 

그는 지난 7월 한 강연에서도 미국이 긴축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고용시장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고용시장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NABE 연설에 등장해 "고용 개선 흐름이 계속된다면 테이퍼링을 시작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연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달 1200억달러 수준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이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의 영향으로 미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연준 내부에서는 테이퍼링 조기 시행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연준은 이달 FOMC 정례회의를 마친 지난 22일 성명을 통해 "경제 진전이 예상대로 이뤄진다면 위원회는 자산매입 속도 완화가 곧 정당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설명했다. 테이퍼링 조기 시행을 시사한 셈이다.

연준은 테이퍼링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쏟아지던 올 초부터 테이퍼링의 전제조건으로 고용지표 개선을 강조해왔다.

고용률 증가가 곧 코로나19 악재로부터 고용시장이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6월 "백신 접종이 증가하면서 향후 몇 달 안에 일자리 증가세가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이러한 기대 속에서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연준이 요구한 '확실한 진전'을 달성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가장 최근 자료인 지난 8월 고용지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시장 전망치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23만5000개 증가에 그쳤다.

이와 관련해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경제가 최대 고용을 향한 진전을 이루고 있지만 연준이 보길 바라는 '상당한 추가 진전'을 했다고 말하기에 부족하다"라고 평가했다.

때문에 외신들은 내달 초 발표될 예정인 9월 고용지표에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연준이 테이퍼링 계획을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진 FOMC 정례회의가 11월에 개최되는 만큼, 그 이전에 유의미한 근거 자료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미 연준 관리들이 고용 증가와 테이퍼링의 연계성을 강조했다"라며 "9월 고용지표는 연준이 테이퍼링을 추진할 것인지 그 여부에 대한 방아쇠가 됐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