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문암리 시무나무

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상주시 문암리 시무나무는 오래도록 길가에 서서 마을의 이정표 역할을 해온 나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상주 문암리 시무나무는 길이 네 갈래로 갈라지는 곳, 마을 당숲 건너편에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문암리 시무나무는 서 있는 위치로 보아 마을의 갈림길을 알리기 위해, 또는 20리를 알리기 위해 이정표로 심은 나무로 보인다. 

나무나무 무슨 나무 십리 절반 오리나무
열아홉에 스무나무 아흔아홉 백양나무…

전국 여러 곳에서 전승된 ‘나무타령’의 노랫말 도입부다.

현대에는 나무가 마을의 상징이거나 이정표 역할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전통 사회에서는 나무가 도로 표지판 혹은 이정표 구실을 했다.

우리나라의 마을 길마다 이정표 삼아 흔하디흔하게 심은 나무 중에 가장 대표적인 나무가 바로 오리나무와 시무나무였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그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위의 전통 민요의 노랫말처럼 오리나무는 십 리의 절반인 5리(2km)마다 심었고, 5리가 4번이 되면 ‘스무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스무나무는 물론 시무나무를 말한다.

시무라는 말은 옛말로서 스무, 즉 20(二十)을 뜻한다.

그래서 시무나무를 ‘20리목(二十里木)’이라고도 불렀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옛날엔 20리마다 시무나무를 볼 수 있었다는데, 지금은 조선 시대 옛길이 거의 사라져버려서 시무나무를 보기가 어려워졌다.

오래된 시무나무는 더욱 그렇다.

심지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시무나무는 제476호인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주남리 주사골의 시무나무와 비술나무 숲이 유일하다.

보호수로 지정된 시무나무 가운데에 200년이 넘은 나무는 고작 예닐곱 그루밖에 없다.

상주 문암리 시무나무는 그 가운데 한 그루다.

문암리 시무나무가 서 있는 곳은 시무나무를 기준으로 도랑길 고개로 가는 길, 문암 1리로 가는 길, 문암 2리로 가는 길, 문암리 마을 앞 큰 들판으로 가는 길, 이렇게 네 갈래로 길이 갈라지는 곳이다.

예전에는 처음 이 마을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길을 가르쳐줄 때,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논 옆으로 길을 따라가다가 커다란 시무나무가 보이면, 바로 그 앞이 우리 마을이다.”

대다수가 문맹인 조선 시대에 이러한 길 안내는 매우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조선 시대 일반 농민들은 글자를 모르는 대신 특정한 나무가 어떤 나무인지, 그 용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매우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나무를 하러 다니는 게 일과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 사회에서 시무나무는 지금의 도로 표지판 구실을 훌륭하게 수행했을 것이다. 현대인들에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길을 안내할 이유가 없어졌다.

자동차나 스마트폰에 들어있는 내비게이션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시무나무는 느릅나무과(科), 시무나무속(屬)에 속하는 나무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며, 습한 토양을 좋아하여 하천 주변이나 숲 가장자리에 주로 분포한다.

물에 잠겨도 피해가 없을 정도로 내습성(耐濕性)이 강해 습지에서도 잘 자란다.

세계적으로는 1속 1종만 있는 희귀한 나무 중 하나라고 한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문암리 시무나무가 서 있는 좁은 길 맞은편에는 시무나무보다 더 크게 자란 여러 그루의 다른 나무들이 무성하게 우거져 마을 숲을 이루고 있다.

숲 가장자리에는 반듯한 돌 구조물 제단이 있고, 돌 구조물에는 ‘동신제단(洞神祭壇)’이라는 한자가 또렷이 새겨져 있다.

문암리 마을 사람들은 마을 당숲에 해마다 정월 초닷새에 동신제를 지낸다.

마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제수를 나누어 제수를 준비하고, 제삿날 저녁이면 이 숲 앞에 모여서 제를 올린다.

식물학적으로는 200년 넘은 시무나무 한 그루는 오래 지켜야 할 가치를 가진 나무인 게 틀림없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는 시무나무보다는 당숲이 중요하다.

문암리 시무나무는 이제 당숲을 알려주는 이정표 구실을 한다.

시무나무를 이야기할 때 많은 사람이 인용하는 김삿갓(김립) 시의 시구가 있다. 

二十樹下三十客 (이십수하삼십객) 
四十村中五十飯 (사십촌중오십반)

“시무나무 아래에서 서러운 객이 죽일 놈의 마을에서 쉰 밥을 얻어먹었다”라는 뜻의 풍자시다.

시무나무의 ‘시무(20)’와 50의 ‘쉰’을 각각 음차해서 동일 영역에 두고 말장난을 한 시(詩)다.

이 시로 미루어보아 아마도 김삿갓은 마을 입구 시무나무 아래에서 푸대접을 받았고, 그 화풀이로 이런 시를 남긴 것으로 짐작된다. 

문암리 시무나무는 오랫동안 이정표 역할로 생활에 도움을 주었던 나무이고, 시무나무로는 드물게 수령이 200년이 넘는 큰 나무여서 보존할 가치가 높다.

<상주 문암리 시무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11-24-16-8-1
·보호수 지정 일자 1982. 10. 26.
·나무 종류 시무나무
·나이 180년
·나무 높이 11m
·둘레 1.9m
·소재지 상주시 은척면 문암리 658-3
·위도 36.550803, 경도 128.059460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