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진료 전 설명의무 제도‘ 적극적 홍보를 통한 인지도 개선 필요

비급여 진료비 정보 공개제도 인지도[사진=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비급여 진료비 정보 공개제도 인지도[사진=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뉴스퀘스트=최유나 인턴기자】 국민 10명중 8명은 ’비급여 진료비 공개제도‘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비급여'란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비용으로 의료기관에서 금액을 정하기 때문에 기관마다 다를 수 있다.

때문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비급여 가격을 확인, 환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돕기 위한 '비급여 진료비 공개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 금융소비자연맹, 소비자와 함께 등 3개 시민단체가 엠브레인에 의뢰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최근 3년 이내 병원 방문 경험이 있는 일반국민은 ’비급여 진료비 정보 공개제도‘에 대한 인지율이 22.7%에 그쳤다.

또 실제 ’비급여 진료비 정보‘ 이용 경험 역시 20.3% 수준에 그쳐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제도‘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통한 인지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녹색소비자연대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이 제도를 ‘인터넷 뉴스 기사 검색(39.4%)’으로 접하고 있어 다양한 언론사를 통해 자료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주장했다.

또한 일반 국민들은 사전 정보를 탐색할 때 ‘네이버 블로그/포스트’, ‘지식인/키워드 검색’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포털사이트와의 협업으로 접근성을 높히는 방법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설문에서 응답자의 16.0%가 심평원 홈페이지 웹/어플 방문 경험이 있다고 응답 하였으나,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비급여 진료비 정보' 및 '비교 서비스 이용률'은 전체 응답자의 6.2%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홈페이지에서 비급여 진료비용 확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8.0%로 심평원 홈페이지 대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심평원은 '접근 편리성'과 '정보의 신뢰성'이 높은 반면 '정보의 충분성'과 '커뮤니케이션'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Q&A 게시판, 챗봇 등의 소통 창구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설명 이후 환자의 서명 의무화’ 도입에 대해서는 81.6%가 긍정 응답률을 보이는 등 병원 이용자들 또한 주도적인 결정권을 갖고자 하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보여 제도 도입을 긍정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