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청약시장 당첨자 23% 50대 이상...청약가점 산정시 유리
분양가 상승 부담 느낀 젊은 층, 기존 매매시장 이동했을 수도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올해 들어 청약 당첨자 가운데 50대 이상 장년층 당첨자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청약 당첨자 연령대별 데이터(3월 25일 발표 기준)를 분석한 결과, 50∼6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이 23.00%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50∼6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은 19.65% 였지만, 2022년 19.77%, 2023년 20.46% 등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 5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을 살펴보면, 지난해 13.69%에서 올해 15.28%로 1.59%포인트 상승했고, 60대 이상은 지난해 6.77%에서 올해 7.72%로 1%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반면, 30대 이하와 40대 당첨자 비율은 2021년 80.35%, 2022년 80.23%, 2023년 79.54%, 2024년 77.00%로 점차 비율이 줄고 있는 모습이다.
올해 30대 이하와 40대의 당첨 비율은 각각 49.69%와 27.31%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각각 52.03%, 27.52%였다.
전체 당첨자에서 여전히 30대 이하와 40대의 당첨자 비중이 월등히 높지만 50∼60대 이상의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청약가점이 더 많이 산정되는 특성이 있어 50대 이상에 유리하다는 분석과 함께 분양가가 급등해 부담을 느낀 젊은층이 청약시장에서 기존 매매시장으로 이동했다고 해석했다.
리얼투데이는 "청약통장 가입기간이나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청약가점이 높기 때문에 연령대가 높은 50∼60대 이상의 당첨자 비율이 소폭 늘어난 것 같다"며 "출산율 저하로 인한 고령인구 증가 영향도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청약 가점은 무주택 기간(32점), 부양가족 수(35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17점)으로 구성된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