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건축 수주 가뭄‧착공실적도 저조...전문가 “공급 부족 따른 집값 상승 우려”
올해 3월 국내 건축사업 수주액 전년 동월 대비 21% 하락 지난해 건축착공면적, 전년 대비 31.7% 급감 분양가상한제 폐지, 세 부담 완화 등 집 지을 수 있는 환경 만들어 줘야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건설업계가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을 이유로 국내 건설 건축사업 수주를 망설이면서, 지난해 수주액 역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축사업 수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건측‧재개발 등 도시정비 사업 수주의 경우 사업성 등을 이유로 적극 나서지 않으면서 자칫 잘못하다가는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3일 대한건설협회의 ‘2024년 3월 국내건설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국내 건축사업 수주액은 전년 동월 대비 21% 하락한 7조7124억원이다.
이 가운데 민간부문은 같은 기간 무려 25.3% 감소한 6조4666억원을 기록했다. 공사비 상승 등의 여파로 재건축 등이 부진하면서 전체 수주 감소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3월 국내 건설사들의 재건축 수주액은 총 8955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1916억원 대비 24.8% 감소했다.
건축착공면적도 크게 감소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건축착공면적은 전년 대비 31.7% 감소한 7568만㎡로 나타났다. 전년도인 2022년 18.1% 감소 보다 더욱 위축된 실적을 보였다.
특히, 주거용 건축착공면적은 전년 대비 27.5% 감소한 2517만㎡로 2010년 2442만㎡ 이후 13년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공사비가 급등했고 금리 상승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발생하면서 전체 건축 착공 실적도 저조했다”며 “특히 주거의 경우 공사비 갈등으로 주요 정비사업이 지체됐고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으로 미분양 물량이 적체되면서 건설사들이 수주에 소극적으로 나서면서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모습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올해 분양에 나선다고 하면 공사기간을 고려했을 경우 오는 2027년부터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처럼 건축착공 물량이 감소한 상황에서는 이 시기부터 공급부족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권 팀장은 “보통 입주 시점이 되면 매매나 전세 물량이 풀리면서 가격을 둔화 또는 하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반대로 물량이 줄어든다고 하면 가격이 떨어 질 수 있는 상황이 나올 수 없다 즉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착공 감소 문제가 계속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표준건축비를 시장 상황에 맞게 인상해 주고 규제 지역을 없애는 등 건설사들이 사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한다”면서도 “한편으로는 거래 활성화를 위해 취득세나 양도세, 보유세 등의 세금을 낮춰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의 부담을 줄여야 거래도 살리고 집 짓는 환경도 만들어 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주로 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주택 수주에 나서고 있는 건설사의 입장에서는 분양가상한제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같은 정부 정책의 국회 통과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며 “건설들이 집을 짓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