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 여파, 국내 프롭테크 산업 ‘주춤’...전년 대비 투자액 55.1% 감소
법적기반 마련, 펀드 조성 등 다각적 노력 필요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부동산 경기가 침체로 국내 부동산정보기술(프롭테크) 산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동안 프롭테크 업게는 저금리와 저물가를 등에 업고 부동산시장과 투자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현재 부동산 시장은 고금리, 고물가로 인해 프롭테크에 대한 관심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부동산산업 육성 선진화 차원에서 프롭테크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면서도 현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리스크를 분산하고 관리역량을 강화하는 등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프롭테크 산업은 2018년부터 5년간 창업과 업역확대, 한국프롭테크포럼 설립 등을 통해 급성장해왔지만 2022년부터 어려움에 직면했다.
실제로 한국프롭테크포럼 조사자료를 살펴보면, 2011년부터 2023년까지 프롭테크 산업의 누적 투자 금액은 5조7278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여파와 경기 불안 등으로 지난 2022년 한국프롭테크포럼 회원사가 유치한 투자액은 1조204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5% 급감했다. 또 투자 유치 기업은 138개사에서 30.8% 감소했다.
프롭테크 투자액은 2021년 약 2조6943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를 맞으며 2022년과 2023년 투자 금액이 감소했다.
프롭테크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프롭테크(Proptech)의 합성어로, 초기 중개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이 등장하며 소비자의 관심을 이끌었다.
최근에는 자산 형태(건설, 상업용, 주거용, 공유경제 등), 서비스 형태(시공 관리, 검색, 중개, 자산관리, 금융 등), 기술(AI, 블록체인 등)이 결합해 프롭테크의 다양한 서비스와 분야를 형성하고 있다.
국내 프롭테크 성장의 배경에는 저금리, 저물가 속에 부동산시장과 투자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건산연의 설명이다.
그러나 2022년부터 고금리, 고물가에 따른 유동성 축소와 함께 부동산 가격 하락, 거래 감소, 공급 감소 등이 이어지면서 프롭테크 산업도 어려움에 처했다.
대표적인 프롭테크 기업인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은 지난해 매출 1200억원으로 전년 매출 883억원 대비 36% 증가했지만, 영업 손실은 378억원을 기록했다.
상업·업무용 부동산정보기업 알스퀘어도 지난해 매출 146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1840억원 대비 2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손실 역시 92억원에서 237억원,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은 198억원에서 276억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부동산 플랫폼 '다방'의 운영사 '스테이션3'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매출은 209억원으로 전년 230억원 대비 약 9%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6억7586만원으로 전년 9억8492만원 대비 약 3억원 가량 감소했다.
이처럼 프롭테크 산업은 부동산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최근 같은 경기 침체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리스크를 분산하고 관리역량을 강화해 산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의 발 빠른 변화와 또 침체기에는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위험을 관리하거나 분산하는 관리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건산연 관계자는 “프롭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핀테크 육성 벤치마킹이 필요하다”며 “프롭테크 산업의 육성은 부동산산업의 육성과 산업 선진화 차원에서 중요하며 경기 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핀테크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빅 데이터 따위의 첨단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를 말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4차례에 걸쳐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발표하는 등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고, 인터넷 전문은행의 활성화 등의 기초가 됐다.
이 관계자는 “프롭테크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가 금융위원회의 활동을 벤치마킹해 법적기반 마련, 조직적 지원 기구 설립, 펀드 조성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는 산업 혁신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이 미미해 규제 적용 배제 등을 위한 법적 지위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안정적 정책자금을 마련해 혁신기업을 발굴하고 안정적 성장을 위한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