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전기차 산업, 극복 위해선 소비자 인식개선‧지원정책 확대해야”
KAMA, 2024년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분과 회의 개최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전기차를 사용하는 실 사용자보다 비사용자가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기차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침체) 극복을 위해서는 전기차 보조금 증액, 충전요금 할인 등 확실한 경제성 우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11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1일 협회 모하비실에서 ‘전기차 수요확대를 위한 소비자 인식개선 방안’ 주제로 열린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자동차 환경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인한 전동화 전환 동력 상실을 막기 위해서는 향후 2~3년 동안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고 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시장은 총 16만2000대 판매되면서 주요 자동차 시장 중 유일하게 전년 16만4000대 대비 1.1% 감소하는 등 역성장을 보였다.
특히, 올해 1~4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26% 이상 감소해 전기차 시장의 위기감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전기차 수요 부진이 지속되면 전기차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전동화 전환 동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 강남훈 회장의 설명이다.
강 회장은 “향후 2~3년 동안 한시적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22년 보조금 수준(승용 600만원, 화물 1400만원)으로 3년간 유지하고, 충전 요금 할인 특례를 부활시키는 등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기차에 대한 일반 국민의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도 매우 중요하다”며 “실제로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 충전 불편과 같은 부정적 인식 등 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비사용자가 사용자보다 더 크게 느끼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전기차사용자협회 김성태 회장이 발표한 `23년 말 이볼루션과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전기차 보유자 128명, 비보유자 401명 등 총 529명,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26%p)에 따르면, 전기차 사용자보다 비사용자의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해 김성태 회장은 “전기차에 대한 매체의 부정적 언급 등 편견과 오해에서 비롯됐다”며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매체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무분별하게 검증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해서 점검이 필요하고 전기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인식개선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는 ▲화재, 급발진 등 부정적 기사 54.5% ▲충전인프라 부족 48.3% ▲장거리 운헹 애로 34.1% 등이었다.
김 회장은 “전기차 비보유자의 구매고려 요인 중 보조금 등 금전적 혜택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된 바, 보조금 정책이 전기차 보급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
이어 안전 불안감 해소, 배터리효율 및 주행거리증가, 충전인프라 확대 등은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필요한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보조금 지원이 지속감소 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경제성 우위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연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총 운영비용 분석 결과 2021년 기준으로 전기차의 총운영비용이 내연기관차대비 약 650만원 우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다만 매년 보조금의 지속적 감소, 충전요금 할인특례 일몰 등으로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공급망 교란에 따라 배터리 비용의 하락세가 둔화돼 차량가격 인하가 어려워지는 상황까지 고려한다면 전기차의 총 운영비용 경쟁력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된다”며 “전기차 캐즘 극복을 위해서는 전기차 보조금 증액, 충전요금 할인 등 경제성의 확실한 우위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보현 자동차안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현행 전기차 배터리 안전기준과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위한 배터리 안전기준의 발전방향’ 발표를 통해 국내 배터리 안전기준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기준을 채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 책임연구원은 “전기차 글로벌 리딩국가답게 세계 최초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전기차 안전성분야 도입을 통한 전기차 화재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화재 등 전기차 안전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 우리 정부의 목표”라고 말했다.
KAMA는 미래차노동, 부품미래차전환, 미래차통상, 친환경차, 신모빌리티 등 5개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난해 1월 전문위원회를 발족했다. 각 분과별로 연구와 토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