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노조, 8일부터 사흘간 총파업...생산 차질 크지 않을 듯
노사, 3차례 사후조정서도 합의 못해…추가 총 파업 등 계획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결국 총파업에 들어간다.
다만 지난달 연가 투쟁 등을 감안하면 실제 총파업에 참여할 조합원 수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생산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전날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과 간담회에서 전체 직원에 대한 휴가 1일과 연봉협상에 서명하지 않은 조합원 855명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요구했으나 사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총파업을 선언했다.
전삼노는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 기간 화성사업장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여는 등의 방식으로 쟁의행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전삼노는 “사후 조정 기간 동안 쟁의활동을 멈춰달라는 사측의 요구를 들어줬음에도 6월 13일 이후 사후 조정 2주 동안 우리의 요구를 전혀 수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자들을 대등한 관계로 생각하지 않고 여전히 회사의 소모품처럼 만만하게 보고 있다”며 “3차 사후 조정에서 나온 사측의 제시안은 조합원, 대의원, 집행부 모두를 분노케 했으며 더 이상의 평화적인 쟁의행위는 무의미하다”며 파업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전삼노는 ▲2024년 연봉협상에 서명하지 않은 조합원 855명에 대한 높은 임금 인상률 적용 ▲경제적 부가가치(EVA) 방식의 불투명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제도의 투명한 개선 ▲유급휴가 약속 이행 ▲무임금 파업으로 발생된 모든 조합원들의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을 총파업 요구안으로 제시했다.
전삼노는 “총 파업을 통해 이 모든 책임을 사측에 묻는다”며 “이번 파업으로 발생하는 모든 경영 손실의 책임은 전적으로 무성의한 교섭으로 일관한 사측에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 1월부터 교섭을 이어 갔으나 3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에서조차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다. 이어 5월 29일 삼성전자 창사 이후 55년만에 파업을 선언했다.
또 지난달 7일에는 첫 연가 투쟁에 나섰다. 다만, 이날이 현충일과 주말을 사이에 둔 징검다리 연휴로 휴가를 계획한 직원이 많아 생산에 차질은 없었다.
전삼노는 사흘에 걸친 총파업 이후에도 사측이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시 추가로 총파업 일정을 잡을 계획이다.
한편, 전삼노 구성원 수는 2만8400명(지난달 27일 기준)으로 반도체 사업을 맡고 있는 디바이스솔루션(DS) 사업부 직원들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