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적 발표 앞둔 캐피탈·중소형 증권사, ‘실적 악화’ 우려 커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충격 여파 메리츠캐피탈·신한캐피탈, 대손준비금 반영할 경우 적자 전환 전망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국내 금융시장의 위험 요소로 지목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가 캐피탈사와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상황에서 실적 악화가 표면화될 경우 기업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15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금융업 8개 업종 중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2022년) 대비 감소한 업종은 저축은행·부동산신탁·캐피탈·증권사 등 4개 업종이다.
나머지 4개 업종(은행·생명보험·손해보험·신용카드)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보다 증가했다.
지난 2022년 말 강원중도개발공사 회생 신청 이후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며 부동산 PF 사업 비중이 큰 업종 중심으로 실적이 악화했다.
이 중 저축은행의 경우 2014년 이후 9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신용평가업계에서는 올해 2분기부터 캐피탈사와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 악화가 본격화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메리츠캐피탈·신한캐피탈 등 일부 캐피탈사는 이미 지난 1분기 위험 징후가 나타나기도 했다.
메리츠캐피탈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259억1000억원이었다. 지난해 4분기(596억8000억원)에 비하면 56.5% 감소했지만, 충당금 적립 부담에도 흑자를 유지했다.
그러나 대손준비금(383억3000만원)을 반영하면 124억2000만원의 당기순손실로 적자 전환하게 된다.
신한캐피탈은 1분기 당기순이익은 613억6000만원을 거뒀찌만, 대손준비금을 반영하면 당기순이익은 77억5000만원 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로 바뀐다.
대손충당금은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채권에 대비해 쌓아두는 자금이을 뜻한다. 한국이 채택한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금융기업들이 이익의 일부를 적립하고 있다.
또 대손준비금은 금융당국의 감독 규정(여신전문금융업감독규정 제11조)에 따라 쌓아야 하는 비용이다. 규정에 따른 기준금액보다 대손충당금이 적으면 해당 차액을 대손준비금으로 적립한다.
이러한 대손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은 금융기업이 건전성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따로 보관해둔 돈이라는 점에서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다만, 회계상으론 대손충당금은 비용으로, 대손준비금은 이익잉여금으로 처리된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과 달리 대손준비금은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현재 신용평가업계에서는 대손준비금까지 반영한 당기순이익 수치도 주목하고 있다.
금융 당국이 말하는 충당금은 면밀하게 봐선 충당금과 대손준비금을 다 합친 금액으로 대손준비금까지 고려한 당기순이익이 해당 기업의 실제로 낸 순이익으로 볼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회계상 숫자보다 실제 현금 흐름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중소형 증권사도 있다.
신용평가업계 관계자는 “보통은 당기순이익과 대손준비금 반영 당기순이익이 크게 차이 나지 않는데 지난해 말부터는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이 시행되며 2분기부터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면 이런 추세가 더 강화될 것 같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무 한국기업평가 평가기준실장은 “하반기 캐피탈사의 경우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 강화로 자산건전성이 저하하고 손실 인식이 빨라질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증권사는 부동산 PF 부실 우려에 따른 불확실성이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