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골드러시 때 돈 번 건 청바지와 곡괭이...AI시대에는 반도체, 적은 비용으로 금 캘 수 있게 해야"

대한상의 제주포럼서 AI경영 토크쇼...“엔비디아, 3년안에는 적수 없을 것”

2024-07-19     권일구 기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대한상공회의소/연합뉴스]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금을 캐기 위해서는 청바지와 곡괭이 등 필요한 도구가 많은데 골드러시가 생기고 금을 캐서 돈을 벌겠다는 사람보다 청바지와 곡괭이를 파는 사람이 먼저 떴다. 지금은 AI라는 금광을 캐러 사람들이 도전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에 에너지까지 붙여 가장 적은 비용을 들여 금을 캘 수 있게 돕겠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 ‘AI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 토크쇼에서 이 같이 말하며 “곡괭이 판매와 비슷한 일을 지금 엔비디아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태원 회장은 인공지능(AI) 칩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엔비디아에 대해 “아주 짧은 미래 향후 2∼3년 안에는 엔디비아를 무너뜨리긴 힘들 것으로 본다”며 “(SK하이닉스)중요한 고객이다 보니 우리도 연구를 많이 하는데 3년 안에는 솔직히 적수가 거의 없다”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다뤘고 이것은 AI 연산과 같은 병렬 처리 계산법을 갖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굉장히 많이 발전시켰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누군가 칩을 비슷하게 만들어도 그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한순간에 만들 방법이 없고 2∼3년간은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좋기 때문에 무너지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 회장은 “엔비디아가 2∼3년 후에 무너질 수도 있느냐 그건 가능성이 있다”면서 “AI로 돈을 벌어내는 모델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 엔디비아의 세상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생태계가 필요해지고 엔디비아가 쌓아 올린 공산이 무너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누가 엔디비아를 깰 수 있느냐는 지금 누구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엔디비아의 칩을 쓰는 회사들이 있지만 그들도 나름대로 칩을 만들고 싶은 욕구가 크다”고 전했다.

이어 “AMD와 ARM 등이 칩을 만들고 있는데 누군가 칩을 갑싼 형태로 만들 수 있다면 엔디비아는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최 회장은 최근 AI 열풍을 19세기에 금광을 캐려고 사람들이 몰려들던 '골드러시'에 비유해 설명했다.

그는 “옛날에 골드러시라는 게 있었는데 지금은 AI라는 금광을 캐러 사람들이 도전하고 있다”며 “금을 캐기 위해서는 청바지와 곡괭이 등 필요한 도구가 많은데 골드러시가 생기고 금을 캐서 돈을 벌겠다는 사람보다 청바지와 곡괭이를 파는 사람이 먼저 떴다”고 전했다.

이어 “곡괭이 판매와 비슷한 일을 지금 엔비디아가 하고 있는데 저희 전략도 곡괭이를 팔아서 돈을 벌자는 것”이라며 “문제는 금을 캐는 사람이 계속 금을 캐야 곡괭이도 계속 팔 수 있는데 금이 나오지 않으면 곡괭이도 못 판다”고 지적했다.

그는 “처음에 곡괭이를 팔다가 땅을 더 깊게 파기 위해 불도저를 팔든지 땅을 뚫는 지게를 팔아야 한다”며 “저희 기본 전략은 AI 데이터센터에 에너지까지 붙여 가장 적은 비용을 들여서 금을 캘 수 있게 도와드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AI 메모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SK하이닉스는 GPU에 탑재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엔비디아에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다.

최 회장은 최근 글로벌 테크 기업의 경영자들과 만난 일화도 언급했다.

그는 “기업들이 나름의 전략을 갖고 있어 그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의 전략은 빅테크와 똑같은 수준에서 만들어 먹고 사는 반도체와 같은 분야 외에도 다른 솔루션을 파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각의 요구를 알아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