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호주 '해양방산전시' 참가...초연결·초융합 '유무인 복합체계' 솔루션 제시
통합 전투체계 기술로 글로벌 방산시장 공략 함정 스텔스 핵심 기술 '통합 마스트' 공개 국내 최초 연안 수색 임무 앞둔 '해령' 선보여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한화시스템은 오는 26일까지 호주 퍼스에서 열리는 '해양방산전시(IODS) 2024'에 참가해 최고 수준의 함정 역량을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IODS에서 통합 전투체계(ICS)와 한국형 구축함 통합마스트(KDDX I-MAST) 등 함정의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장비들을 전시한다.
특히 한화오션과 함께 부스를 꾸려 양사 시너지를 앞세우고, 대한민국의 우수한 해양기술 역량 또한 과시해 호주 함정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통합 전투체계(ICS)는 통합제어장치(ECS), 통합함교체계(IBS), 유·무인복합체계(MUM-T) 등 기존에 각 기능을 수행하던 함정 내 각종 시스템을 통합해 운용한다. 또 개별로 통제하던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을 단일 전투체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통합 전투체계'가 향후 함정 탑재장비들이 통합설계되는 미래형 함정에 쉽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된 통합마스트는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의 핵심 장비로 은폐 능력을 향상시키는 센서 복합 구조물이다.
다기능위상배열레이다, 적외선탐지추적장비, 통신안테나 등을 대형 구조물 하나에 통합해 평면으로 설계 및 부착해 레이다 반사를 대폭 줄여 스텔스 기능을 향상시켰다.
'해양 유·무인 복합체계'는 한화시스템만의 차별화된 초연결·초지능·초융합 역량을 기반으로 유·무인 전력을 효과적으로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체계다.
저궤도 통신위성, 무인수상정 해령, 대잠정찰용 무인잠수정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유·무인 체계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전 반경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1월부터 '상용 저궤도위성기반' 구축을 진행하며 육·해·공군의 기존 전술망과 위성통신망 간의 연동에 나서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르면 오는 2025년부터 상용 저궤도위성 기반의 통신체계를 우리 군에 최초로 공급하며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해양경찰서가 주관하는 한화시스템의 '해령'은 연안에서의 수색구조 및 감시정찰 임무수행을 하는 수색정찰용 무인수상정이다.
전장 12m, 중량 14톤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디젤-전기 하이브리드 추진체계가 적용됐다. 최고 속도를 40노트(kts)까지 낼 수 있으며, 20kts로 운용 시 최장 12시간까지 운용이 가능하다.
해령은 탑재된 무인잠수정 및 드론과의 협업으로 수색 및 감시정찰 능력을 다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무인잠수정과의 수중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실종자나 사고선박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을 통해 입체적인 작전상황 중계가 가능하다.
국내 최초로 주변의 해상 상태를 인식해 최적의 안전 운항을 수행하게 하는 ‘파랑회피 자율운항’ 기술이 적용됐다. 이외에도 ▲최신 AI기반 표적·장애물 탐지 기술 ▲무인 자율 이·접안 기술이 탑재돼 무인체계의 자율 수준을 한층 높였다.
아울러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함정을 지키는 사이버방호 시스템 선보였다.
'함정 사이버방호 시스템(NCOS)'은 사이버 상황을 분석·탐지·관제해 예기치 못한 사이버 공격 발생 시 승조원이 즉각 대응할 수 있게 돕는다.
한화시스템은 국내 최초로 우리 해군 내에 함정 사이버방호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항해 중 성능평가 또한 마친 상태다. 현재 전 함정 확산 적용을 검토 중이며, 무인수상정과 무인잠수정 등 무인체계 및 소형 함정에 최적화된 장비도 개발중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