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티메프’ 미정산 판매대금…정부, 추가대응 방안 검토

지난달 25일 2134억에서 지난달 31일 2745억원으로 600억원↑ 8000억원 훨씬 넘기면서 1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필요 시 소비자·판매자 지원 방안 추진 계획

2024-08-02     김민수 기자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티몬·위메프 사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지난달 29일 발표한 대책의 이행상황을 2일 점검했다. 티몬·위메프 미정산 피해 판매자들이 강남경찰서에서 고소장 제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티몬·위메프 사태로 피해를 호소하는 소비자·소상공인이이 계속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와 관련한 추가대응 방안과 제도 개선책을 이른 시일 내 내놓을 전망이다.

2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티몬·위메프 사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지난달 29일 발표한 대책의 이행상황을 점검했다.

금융감독원이 파악한 티몬·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규모는 지난달 25일 2134억에서 엿새 만인 지난달 31일 2745억원으로 약 600억원 불었다.

정부는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6~7월 거래분까지 합치게 될 경우 피해액은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심지어 현재(2645억원)보다 3배 많은 8000억원을 훨씬 넘기면서 무려 1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태가 더욱 커지기 전에 유동성 확보를 목표로 총 56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신속히 공급할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 주부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신용보증기금·기업은행 협약프로그램의 지원신청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부는 피해자 환불처리와 관련해 티몬·위메프에서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로 일반물품 배송 정보를 전달하면서 환불 처리를 위한 물품·용역 확인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피해 소비자들은 티몬·위메프가 아닌 카드사·PG사에 직접 카드결제 취소·환불을 신청할 수 있는 상태다.

여기에 추가로 정부는 상품권·공연업계, 농식품 판매업체, 휴대전화 소액결제 등에 대한 미정산 현황을 점검하고, 필요 시 소비자·판매자 지원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그 외 정부는 ‘추가 대응 방안 및 제도개선 방향’을 구성하는대로 발표할 계획이다.

유력한 개선책으로는 판매사 정산대금을 마음대로 다른 곳에 활용할 수 없도록 ‘에스크로’(결제대금예치)를 전면 도입하고, 판매대금 정산주기를 단축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