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가 GDP 성장폭 만큼 올랐다면 6000P 넘었어야...저평가란 말도 무색” 기관투자자의 쓴소리
박유경 네덜란드연금자산운용(APG) 전무 비판...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열린 토론'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 “국내총생산(GDP)이 30년간 7배 성장했는데 코스피는 3배 성장했다"며 "한국이 만약 GDP가 성장한 만큼 코스피가 성장했다면 지수가 6,000이 넘는다”
박유경 네덜란드연금자산운용(APG) 전무는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열린 토론'에서 이같이 분석하고 “한국 시장은 저평가라고 말하기도 부끄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은 GDP가 3.5배, 지수도 3.5배 비슷하게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박 전무는 이어 ”한국이 2004년 기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이머징 마켓(신흥시장)지수에서 17%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13% 비중이라면서 "그동안 대만과 인도가 치고 올라와 각각 19%를 차지한다. 인덱스가 바뀌어버린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자본시장 선진화와 관련해 "경영권이란 말 자체를 시장에서 없애야 한다. 권리를 가진 유일한 존재는 주주"라며 주주의 권리를 보장하는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국민연금공단·한국거래소가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토론에는 이복현 금감원장, 김태현 연금공단 이사장, 김기경 거래소 부이사장 등이 자리했다.
아마르 길 ACGA(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 사무총장은 "한국의 밸류업 프로그램 출범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단계로 보이지만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특히 "주주 권리 강화를 위한 입법 진행 상황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대표 사례로 의무공개매수제도 추진을 꼽았다.
ACGA는 아시아의 기업 거버넌스(지배구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1999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최근 발간한 'CG Watch 2023' 보고서에서는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한국의 종합 평가 점수를 57.1%로 아시아 12개국 중 8위로 평가했다.
한편 이복현 금감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기관투자자의 투자가 실질적으로 확대되고, 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기관투자자의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이행과 관련해 "금감원은 펀드의 독립적인 의결권 행사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위탁 운용사의 의결권 행사 적정성도 면밀하게 점검하겠다"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