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기술 개발 직접 나선다...전구체 없이 재료 합성

현대제철‧에코프로비엠과 협력...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 박차 유해물질 배출 최소화와 함께 국산 철 원료 활용, 안정적 재료 수급 가능

2024-09-26     권일구 기자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 지난 25일 대전광역시 동구 선샤인호텔에서 열린 행사에는 현대차·기아 전동화구동재료개발실 정순준 상무(사진 오른쪽), 현대제철 선행개발실 임희중 상무(사진 왼쪽), 에코프로비엠 연구기획담당 서준원 전무 등이 참석해 각 사 연구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현대자동차·기아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이를 위해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손잡고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총 4년 동안 진행되며,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이 목표다.

전구체란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 등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개발하려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삭제되기 때문에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없고 균일한 입자의 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재활용 철을 가공한 고순도 미세 철 분말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에코프로비엠은 이를 활용해 직접 합성 LFP 양극재 개발에 나선다.

아울러 이 공법을 활용한 LFP 양극재는 성능향상을 통해 저온에서 우수한 충∙방전 성능과 함께 급속충전 기술 구현도 가능하도록 개발한다는 목표다.

현대차‧기아는 현재 양극재 전구체의 대부분은 일부 국가에서만 생산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직접합성법을 적용하면 국내 생산망을 활용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구축도 가능하고,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LFP 배터리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향후 전기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배터리 기술 개발과 효과적인 재료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국가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28일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중장기 전략 ‘현대 웨이’를 발표하며 전기차 성능 및 안전,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배터리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