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금리’ 장기화에 소비 위축…소매판매액지수 전년 동기 대비 2.4%↓
한국경영자총협회,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상반기 실질 소비수준, 2003년 이후 최저인 것으로 집계 승용차·스포츠·주방용품 등 소비 감소에 “규제완화·금리인하 필요”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내수 소비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소매판매액지수’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2003년 이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통계청의 ‘서비스업 동향 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작성한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매판매액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파는 기업 2700곳의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이 중 불변지수는 물가 상승의 영향을 제거한 값으로 경제 주체들의 실질적인 재화 소비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만약 해당 지수의 증가율이 음의 값이면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상반기 불변지수 기준 소매판매액지수는 과거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가 크게 감소했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해당 지수의 증가율은 상반기 기준 2021년 5.5%에서 2022년 1.2%로 떨어진 데 이어 2023년(-0.8%), 올해(-2.4%)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경총은 지난 2020년께부터 국내 실질 소비는 계속 둔화한 것으로 분석하고, 최근 수년 동안 누적된 세계적인 물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진단했다.
또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경상 지수 기준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지난 2021년 8.1%, 2022년 7.1%로 7∼8%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물가 상승이 누적되면서 지난해 2.2%로 쪼그라든 데 이어 올해 더욱 축소된 것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소매판매액지수(경상) 증감률의 편차가 제각각이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난방기기·전동 공구 등 기타 내구재(10.3%) ▲가구(8.7%) ▲의약품(5.1%) ▲음식료품(2.2%) 등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증가했다.
이와 반대로 ▲승용차(-8.1%) ▲오락·취미·경기 용품(-5.3%) ▲침구류·주방용품 등 기타 준내구재(-3.6%) 등은 감소했다.
그 외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한 누적 증가율은 ▲담배·신문·화장지 등 기타 비내구재(45.2%) ▲의약품(42.4%) ▲승용차(31.4%) 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신발·가방(1.2%) ▲통신기기·컴퓨터(2.6%) ▲가전제품(3.0%)의 누적 증가율은 저조했고, 특히 화장품(-9.5%)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업태별로는 면세점의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이 13.6%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터넷쇼핑 등 무점포 소매(7.7%)와 대형마트(5.2%)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늘었지만, 승용차·연료소매점(-4.2%), 전문소매점(-3.1%), 슈퍼마켓·잡화점(-1.9%)은 줄었다.
5년 전과 비교한 누적 증가율은 무점포 소매(67.9%), 백화점(35.3%), 승용차·연료소매점(30.0%)은 증가세를 보였지만, 면세점(-36.5%)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호조세를 보이는 수출과 달리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우리나라 경제 회복을 제약하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아울러 “내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지원책들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기준금리의 인하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